인생의 마지막 순간이 오면
나는 자연스럽게 죽게 되기를 바란다. 나는 병원이 아니고 집에 있기를 바라며 어떤 의사도 내 곁에 없기를
바란다. 의학은 삶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이며 또한 죽음에 대해서도 무지하니까.
내가 바라는 대로 그럴 수 있다면 나는 죽음이 가까이 왔을 무렵에 지붕이 없는 툭 트인 곳에 있고 싶다.
그리고 나는 단식을 하다 죽고 싶다. 죽음이 다가오면 음식을 끊고 할 수만 있으면 마찬가지로 마시는 것도
끊기를 바란다.
나는 죽음의 과정을 예민하게 느끼고 싶다. 그러므로 어떤 진통제나 마취제도 필요 없다. 나는 되도록
빠르고 조용히 가고 싶다. 회한에 젖거나 슬픔에 잠길 필요는 없으니 오히려 자리를 함께 한 사람들은
마음과 행동에 조용함과 위엄, 이해와 평화를 갖춰 죽음의 경험을 함께 나눠 주기 바란다.
죽음은 무한한 경험의 세계, 나는 힘이 닿는 한 열심히, 충만하게 살아왔으므로 기쁘고 희망에 차서 간다.
죽음은 옮겨감이거나 깨어남이다. 삶의 다른 일들처럼 어느 경우의 죽음은 환영받아야 마땅하다.
현실의 법(法)이 강제하지 않는 한 어떤 장의업자나 그밖에 직업으로 죽은 시체를 다루는 사람이 내 장례
일에 끼어들어선 안 된다. 내가 죽은 뒤 되도록 빨리 친척이나 친구들이 내 몸에 작업복을 입혀 침낭 속에
넣은 다음 평범한 나무상자에 뉘기를 바란다. 나무상자 안이나 위에 어떤 장식도 치장도 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옷을 입힌 시신은 화장터로 보내어 조용히 화장되기를 바란다. 어떤 장례식도 열리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어떤 상황에서든 언제 어떤 식으로든 설교사나 목사, 그밖에 직업 종교인이 나의 장례식을 주관해
서는 안 된다.
화장이 끝난 뒤 되도록 빨리 나의 자식이나 아내가, 만일 아내가 나보다 먼저 가거나 그렇게 할 수 없을
때는 내 자식이나 누군가 다른 친구가 재를 거두어 바다가 바라다 보이는 나무 아래 뿌려 주기 바란다.
나는 맑은 의식으로 이 모든 요청을 하는 바이며, 이런 요청이 내 뒤에 계속 살아가는 가장 가까운
사람들에게 존중되기를 바란다.
- 스콧 니어링- Scott Nearing (1883 ~1983) , 미국태생, 자연주의자, 작가
'삶의 향기 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그러운 오월 (0) | 2018.05.01 |
---|---|
말할까 말까 망설여질 때 (0) | 2018.05.01 |
'가슴은 모든 것의 중심이다' (0) | 2018.04.11 |
오! 나의 소연이! (0) | 2018.04.11 |
꼭 열심히 살아야 하나요? (0) | 201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