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여사인(呂舍人)에 관한 답서

장백산-1 2018. 11. 3. 13:45

[김태완의 '서장(書狀)'통한 선공부] <30>


여사인(呂舍人)에 관한 답서(1) 사량분별(思量分別)은 계속 허상(虛相)만 만들어 낼뿐…


"모든 부처와 조사는 단 한 법(法)도 사람들에게 주지 않고, 다만 사람들이 저마다 스스로 믿고(信), 스스로 알아 긍정하며(解), 스스로 보고 실천하며(行), 스스로 깨닫기(證)를 바랄 뿐입니다. 만약 사람들이 단지 남의 입에서 나오는 말만을 취한다면 그것은 사람들을 그르칠 것입니다. 이 일은 결정코 언설상(言說相)을 떠나 있으며 심연상(心緣相)을 떠나 있으며 문자상(文字相)을 떠나 있습니다.


모든 상(相)을 떠남을 알 수 있는 자도 다만 여사인(呂舍人) 뿐이며, 죽은 뒤에 단멸(斷滅)인지 단멸이 아닌지를 의심하는 자도 다만 여사인(呂舍人) 뿐이며, 곧바로 법을 가리켜 보이기를 바라는 자도 다만 여사인(呂舍人) 뿐이며, 매일 매 순간 성내거나 기뻐하거나 사량(思量)하거나 분별(分別)하거나 멍청함에 빠지거나 들떠 안절부절 못하는 것도 모두 여사인(呂舍人)일 뿐입니다. 오직 이 여사인(呂舍人)만이 온갖 기이하고 특별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모든 부처 모든 조사와 모든 중생과 더불어 적멸(寂滅)의 대해탈광명(大解脫光明)의 바다 속에서 함께 헤엄치며 놀고 세간과 출세간의 일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마음공부 선(禪)공부는 사람들 저마다 자기의 타고난 본성(本性)을 확인(確認)하고 본성(本性 ; 근본성품) 그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본성(本性)은 얻은 적도 없고 잃은 적도 없으며,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잃어버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주거나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며,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왜냐면 본성(本性)은 모양이 없고 크기도 없고, 시작도 마침도 없고, 상하팔방이라는 방위가 없고, 모든 곳 모든 때에 다 있고, 온 우주를 감싸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그런 본성(本性)을 어떻게 확인(確認)하는가?


눈을 통해 모양(形)과 색(色)을 볼 때 모양과 색에 가로막히지 않으면 본성(本性)만 남고, 귀를 통해 소리를 들을 때 소리에 가로막히지 않으면 본성만 남고, 코를 통해 냄새를 맡을 때 냄새에 가로막히지 않으면 본성만 남고, 혀를 통해 맛을 볼 때 맛에 가로막히지 않으면 본성만 남고, 피부를 통해 사물과 접촉할 때 촉감에 가로막히지 않으면 본성만 남고, 의식을 통해 무엇을 생각할 때 생각나는 무엇에 가로막히지 않으면 본성만 남는다. 즉 지금 이 순간 온갖 행위동작을 하는 여기 이 자리, 사량분별하는 여기 이 자리, 느끼는 여기 이 자리, 의도하는 여기 이자리에서 상(相, 모양, 이미지, 개념)에 가로막히지 않으면, 이러한 모든 행위동작과 사량분별과 느낌과 의욕이 모조리 본성(本性)이다.


그러므로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에서 본성이니 선이니 공부니 하고 생각하고 헤아리고 해석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행위가 모두 본성(本性)이고 달리 또 다른 본성(本性)이 있는 것이 아니며, 지금 여기서 이 글을 읽고 이리 저리 생각하고 머리 굴리고 궁리하는 것이 바로 본성(本性)이고 따로 다른 본성(本性)이 있는 것이 아니며, 지금 밖에서 들리는 아이들 소리와 자동차 소리가 본성(本性)이며, 손 끝에 느껴지는 신문지의 촉감이 본성(本性)이고 이 본성(本性)과 별개로 또 다른 본성(本性)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이처럼 본성(本性)은 매 순간 매 순간의 모든 일에서 조금도 숨김 없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도(道)를 도라고 말하면 도이면서도 도가 아니고, 선(禪)을 선이라고 말하면 선이면서도 선이 아니고, 본성(本性)을 본성이라고 말하면 본성이면서도 본성이 아니다. 그 까닭은 진실로 모든 것이 도(道) 아님이 없고 선(禪) 아님이 없고 본성(本性) 아님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스스로 사량분별(思量分別)을 해서 허망하고 헛되고 허황된 상(相)을 만들어서 어이없게도 그 허황된 상 허상(虛相), 망상(妄想)에 애착하고 가로막혀서 그만 진실, 도, 선, 본성, 진리를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알고 보면 사량분별(思量分別)도 진실, 도, 선, 본성, 진리이고 사량분별(思量分別)로 만들어내는 망상 허상조차도 모두 본성(本性)다. 이 세상 어떤 것도 본성(本性)을 벗어나 있을 수가 없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왜 본성(本性)을 진실하게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망상 허상을 따라다니며 분별 망상 번뇌로 가득찬 삶을 살아가는가? 그 이유를 묻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것에 대한 대답은 또 하나의 다른 분별 망상 번뇌 허상을 만들 뿐이기 때문이다. 해야할 일은 오직 하나, 분별 망상 번뇌 허상을 깨버리고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 이대로의 본성(本性)을 진실하게 확인하는 것 뿐이다. 그런데, 번뇌 망상 허상은 사량분별(思量分別)함에서 생기므로 사량분별(思量分別)을 통해서는 계속 번뇌 망상 허상을 만들어 낼 뿐 그것을 깨버릴 수가 없다.


분별 망상 번뇌 허상을 깨버리기 위해서는 완전히 쉬어버리는 문을 반드시 한 번 통과해야 한다. 이제까지 의지하고 있던 번뇌 망상 허상과 사량분별(思量分別)을 완전히 놓아버리고 마치 아무것도 잡을 것 없는 허공(虛空)을 붙잡는 듯한 체험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진리, 도(道), 법(法), 선(禪), 본성(本性), 깨달음, 참나, 여사인(呂舍人)에 대한 간절하고 진지한 믿음(信)을 가져야 한다.


김태완, 부산대 강사, 철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