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無), 공(空)은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다
대승 불교나 근본불교의 공통된 주요 사상(思想) 중에 하나가 무아사상(無我思想), 공사상(空思想)
입니다. 대승불교의 중도일승(中道一乘)이라든가 일승원교(一乘圓敎)라든가 하는 이론들은 모두
공사상(空思想), 무아사상(無我思想)을 밑바탕으로 하지 않고서는 성립되지 않습니다.
전반적인 인도사상계에 있어서도 불교만큼 철두철미하게 공사상(空思想)을 주장하는 종교나 철학도
없습니다. 그런데 이 공(空)이라는 의미에 대해서 보면 흔희 아무것도 없는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런
공(空)은 단멸공(斷滅空)이지 중도공(中道空)이 아닙니다.
공(空)이 아주 아무것도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물질(物質)인 색(色)이 멸(滅)해서 아주
아무것도 없는 것이라는 색멸공(色滅空)을 주장합니다. 그러나 불교에서 말하는 공(空)이란, 근본
불교와 대승불교는 물론 심지어 선종에 이르기까지 색(色, 물질)의 자성(自性)이 공(空)하다는
색성공(色性空)을 말합니다. 즉 색(色) 이대로가 아무 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색(色)의 자성(自性)이
본래 공(空)하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색불이공 공불이색(色不異空 空不異色) 색즉시공 공즉시색(色
卽是空 空卽是色)입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은 비유를 들어 공(空)을 바람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바람은 모양을 볼 수도 없고
붙잡을 수도 없지만, 그렇다고 아무것도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공(空)이란 공(空)의
모양을 볼 수는 없지만 결코 아무것도 없는 공(空)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무심(無心)을 ‘마음이 없다’, 또 무념(無念)을 ‘생각이 없다’고 해석하였는데, 없다고만 하면
그같은 견해는 단견(斷見)에 떨어지는 것입니다.
‘없는(無) 마음(心)’, ‘없는(無) 생각(念)’이 무심(無心), 무념(無念)입니다. 일체의 길이 없고 두 가지
상(相)이 없는 마음(心) 생각(念)이니 이같은 마음(心) 생각(念)은 법신(法身)의 작용(作用)이 됩니다.
즉, 무념(無念) 무심(無心)은 상대적인 양변이 떨어져나간 법신(法身)의 생각 마음이니, 이것이 실지
로 쌍차쌍조(雙遮雙照 : 서로 차단하고 서로 비춤)하는 중도정각(中道正覺 : 중도의 올바른 깨달음)
입니다.
그러니 무심(無心) 무념(無念)이 곧장 법신(法身) 진여(眞如)입니다. 육조스님은 무심(無心 무념(無念)
을 으뜸(宗)으로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무심 무념이라고 하여 아무 것도 없는 텅~빈 단멸공(斷滅空)
이 아니고 모든 두 가지 상(相)이 다 떨어져나간 동시에 법신(法身), 진여(眞如)의 항상하는 묘한 작용이
법신(法身), 진여(眞如)에서 일어나는 무심 무념이라는 말입니다.
-성철스님 백일법문 中- 출처 :학림사 오등선원 지대방
'성철스님의 주례사 [금고옥조]입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법(佛法) 망치는 길 경계한 화엄경의 ‘퇴실불법(退失佛法)’ 가슴 새겨야” (0) | 2020.03.24 |
---|---|
행복한 삶으로의 초대 [광양교회 엄인영목사] (0) | 2020.03.17 |
황제라는 보위(寶位)를 헌신짝같이 차버리는 용단 (0) | 2019.03.01 |
생명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0) | 2019.02.12 |
법문(法門)을 들을 수 있는 귀한 인연의 힘 (0) | 2019.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