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그대로는 언제나 눈앞일 뿐이다 - - 법상 스님
매 순간 사람들은 모든 대상을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보고 감촉을 느끼고 생각하고 인식하고 경험하며 살아갑니다. 이렇게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보고 감촉을 느끼고 생각하고 인식하고 경험하는 그 첫 번째 작용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냥 아무렇지도 않게 그렇게 경험할 뿐이고, 일어날 뿐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첫 번째 경험이나 작용 이후에, 이미 일어났다 사라진 경험이나 작용을 내 식(識)대로 이미지 그림을 그리고, 해석하고, 분별한 뒤에 그렇게 스스로 분별해서 만들어 놓은 이미지, 그림자, 상, 기억이라는 의식(意識)의 쓰레기를 붙잡고 집착해서 '그것' 즉, 이미지, 그림자, 상, 기억이라는 의식(意識)의 쓰레기를 '나'라고 동일시(同一視)하는데서부터 모든 괴로움이 시작됩니다.
진짜 생생한 실재(實在)는 잠시 잠깐 순간적으로 생겨났다가 사라지면 그것으로 끝이고 그뿐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 생생한 실재의 작용이 일어난 뒤에, 스스로 분별해서 만들어 놓은 이미지, 그림자, 상, 기억이라는 의식(意識)의 쓰레기에 대한 시비 분별 비교 판단 해석을 붙잡아 집착하면서 참으로 허망하게 괴로워하는 겁니다.
A라는 경험, 작용은 이미 벌써 일어났다 지나갔고, 지나간 뒤에 A에 대한 나의 시비 분별 비교 판단 해석을 AA라고 해보지요. 사람들은 스스로 분별해서 만들어 놓은 이미지, 그림자, 상, 기억이라는 의식(意識)의 쓰레기인 AA를 A라는 첫번째 경험, 작용이라고 여깁니다.
AA는 내가 A에 대해 만든 시비, 분별, 비교, 판단, 해석을 하는 분별하는 생각일 뿐이지, 진짜 A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AA를 A라고 그렇게 여기는 것입니다. A라는 첫번째 경험, 작용은 이미 벌써 일어났다가 사라져버렸어요. A의 일생은 끝났습니다. 더 이상 A라는 첫번째 경험이나 작용은 없어요. 그럼에도 AA라는 생각 속의 '더 이상 없는 거짓 A'를 붙잡고 진짜 'A'라고 여기며 집착하는 짓이 얼마나 허망하고 어리석은 일입니까?
A라는 경험 작용이 지나간 뒤에 그 A에 대해 스스로 분별해서 만들어 놓은 이미지, 그림자, 상, 기억이라는 의식(意識)의 쓰레기에 대한 시비 분별 비교 판단 해석이 불교에서 자주 말하는 의식(意識), 식(識 : 알음알이)이고, 상(相), 이미지, 그림자, 허깨비이며, 분별 망상 번뇌이고, 허상입니다.
사람들은 눈앞에 드러나 있는 지금 여기 있는 이대로의 실상(진실한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바로 보지 못하고, 자기 식(識)대로 해석한 분별망상 속에서 그려진 그림자로 파악합니다. 유식무경(唯識無境 : 분별심 분별의식만 있지 외부 세상은 없다), 만법유식(萬法唯識 : 외부의 세상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의 그림자일 뿐이다)이라는 말은 이처럼, 우리의 허망한 분별의식 분별심이 세상 모든 것을 허망하게만 파악한다고 해서 붙여진 말들입니다.
금강경에서는 바로 이 의식(意識), 식(識 : 알음알이), 상(相), 이미지, 그림자, 허깨비, 분별 망상 번뇌, 허상이 허망하다는 사실을 곧바로 보면 곧장 여래(如來)를 본다고 하였습니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세상을 경험을 머리로 내 식(識)대로 시비, 분별, 비교, 판단, 해석을 해서 보지 말고, 직접적으로 있는 그대로 눈앞의 당처(當處), 텅~빈 바탕인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를 그저 바라보세요. 있는 그대로는 언제나 눈앞일 뿐입니다. 과거에 대한 모든 생각들은 전부 다 허망한 허상이고, 분별망상입니다. 이미 지나간 뒤에 남은 과거의 이미지를 그려놓고 지금 떠올리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오로지 텅~빈 바탕인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 내 눈앞에 드러나 있는 '이것'만이 진실(眞實)입니다. 매 순간 새로운 경험과 작용인 A가 계속해서 찰나 찰나로 왔다가 가고 있지만, 계속해서 찰나 찰나로 왔다가 가는 그것은 찌꺼기 흔적을 남기지 않습니다. 그냥 그저 그렇게 왔다가 갈 뿐이지요.
내 의식이 찰나 찰나로 왔다가 가는 경험과 작용을 붙잡지 말고, 그저 왔다가 가는 것을 경험해주고 허용해 주기만 하면 됩니다. 이렇게 매 순간 참된 진실은 이렇게 분명하게 눈앞에 지금 여기에 드러나 있지만, 우리는 거기에 대한 나의 의식(意識), 식(識 : 알음알이), 상(相), 이미지, 그림자, 허깨비, 분별 망상 번뇌, 허상만을 붙잡고 집착합니다.
세상을 경험을 내 머리로 내 식(識)대로 시비, 분별, 비교, 판단, 해석을 해서 보지않고 있는 그대로를 있는 그대로 보면 곧장 진실(眞實)이 보입니다.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진난만한 본래부처인 나 (0) | 2020.01.08 |
---|---|
기도(祈禱)의 의미를 묻다 (0) | 2020.01.08 |
눈앞 지금 여기 있는 이대로를 판단없이 있는 이대로 보기만 할 뿐 (0) | 2019.12.30 |
나를 지금 여기 있게 돕는 우주만물 중중무진연기(重重無盡緣起) (0) | 2019.12.26 |
나를 지금 여기 있게 돕는 중중무진연기(重重無盡緣起) (0) | 201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