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에 대한 환상(幻想)
'깨달음은 무엇일까?' '깨달음은 어떤 것일까?' 깨달음에 대한 궁금증은 모든 사람들이 참으로 궁금해 하는 문제일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깨달음에 대한 일종의 환상(幻想)에 사로잡혀 있는 듯 합니다. 깨달음은 '이러이러 해야 한다.'깨달음은 내가 알 수 없는 그 엄청난 무엇일 것이다'라고 생각하며 깨달음에 대한 환상(幻想)을 더욱 강화시켜 가고 있는 듯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깨달음과 자기 자신과의 사이를 너무 멀리 잡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즉, 깨달음은 어떤 특정한 근기(根機)를 갖고 태어난 사람들의 전유물(專有物)이라는 생각 말입니 다. 그러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깨달음에 대해 관심은 갖고 있지만 깨달음이 '내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는 수행자라고 자부하는 사람들마저도 '이번 생에는 복이나 짓고 그러다보면 다음 생 언젠가 깨달을 날이 있겠지'하고 멀찌감치 거리를 두고 있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한번은 법회 때 깨달음에 대해 질문을 던져 보았습니 다. '성불(成佛)하는 것, 즉 깨닫는 것이 이번 생의 원(願)이신 분?' 하고 말입니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이 정도로 안 계실 줄은 몰랐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입으로는 '성불하세요, 깨달으세요' '성불합시다, 깨달읍시다' 하면서 실은 성불(成佛), 깨달음 보다는 눈앞에 닥친 욕망(欲望)의 충족에 더 크게 마음을 쓰고 살아갑니다. 성불(成佛), 즉 깨달음은 내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깨달음은 딴 세상의 일일거라는 특정한 사람들의 전유물일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겠지요. 10년 씩 장좌불와하는 스님들이나, 수십 년 세속에서 벗어나 깨달음을 구하는 이들도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데 어떻게 내가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이 너무도 큽니다.
그러나 법우님들, 생활수행자 도반님들! 우리 모두 이제는 깨달음에 대한 환상(幻想)에서 벗어나야만 합니다. 깨달음은 바로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에서 '나'의 문제가 되어야 합니다. 깨달음 그 자체는 환상(幻想)도 아니고, 신비주의적인 그 어떤 오묘한 형상을 가진 것도 아닙니다. 우리 마음 속에서 상상하고 있는 그런 깨달음의 모습은 깨침이 아닙니다. 오히려 깨달음을 그렇게 어렵게 바라보고 있는 그 시선이 나와 깨달음 사이를 멀어지게 만드는 가장 큰 장애라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깨달음은 대단하고 엄청난 것일 것이고, 하늘이 열리고 온 우주가 개벽을 하고, 천지가 내 안에 와락 들어와 안기게 될 것이라는 그런 환상적(幻想的)인 모습이 결코 아닙니다. 깨달은 사람이 보는 세상은 보통 사람이 보는 세상과는 전혀 다른 세상일 것이라는 생각은 우리들의 분별 망상일 뿐입니다.
깨달음이란 가장 단순한 일이며, 가장 평범한 일이고, 우리와 가장 가까운 일일 것입니다. 어떤 엄청난 노력과 집중을 통해서만 얻어질 수 있는 것이 깨달음이라면 깨달음 그 자체가 우리들을 진리(眞理)에서 너무도 멀어지게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깨달음, 성불(成佛), 본래면목 자리, 진면목 자리, 주인공 자리, 본래의 나는 멀리서, 밖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내 안에서 언제나 은은한 시선과 미소로 나의 내면(內面)을 지탱하고 있는 뿌리일 것입니다. 너무 가까이 있기에 오히려 찾을 수 없는, 눈이 모든 사물을 볼 수 있지만 늘 함께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자신의 눈을 볼 수 없듯이 말입니다
깨달음이란 보여지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고, 들려지는 소리를 있는 그대로 듣고, 느껴지는 감촉을 있는 그대로 느끼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은 아닐 것입니다. 깨달음은 있는 그대로를 있는 그대로 보고, 듣고, 느끼고, 받아들이는 것에 다름이 아닙니다. 있는 그대로 보여지는 일체 법계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正見)'이 깨달음일 것입니다. 매우 평범하고 단순하고 가까운 것 말입니다. 깨달음은 오히려 그렇게 단순하기에 사람들의 깨달음에 대한 환상적인 고정관념이 우리 스스로를 깨달음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했는지 모를 일입니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자신의 생각의 잣대로 재고 분별하여 보는 이가 중생이고, 있는 그대로의 현실,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사람이 깨달은 사람일 것입니다. 깨달음!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 그것은 말처럼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자신을 돌이켜 봅시다. '나는 과연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눈을 가졌는가'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고 듣고 느끼고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하고 말입니다. 애석하게도 우리들의 시야는 그러지 못합니다. 우주법계는 있는 그대로 언제나처럼 있는 그대로 그렇게 여여(如如)한 모습으로 있건만 우리들의 시선은 온통 고정관념(固定觀念)과 업식(業識)으로 잔뜩 물들어 있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숯한 편견과 색안경을 낀 채 '자기잣대'로 삐뚫어지게 세상을 봅니다.
어느 하나의 대상을 봄에도 자기잣대 만큼만 보고 자기잣대 만큼만 판단합니다. 내 식대로의 봄만이 있을 뿐입니다. 이를테면 한 사람을 봄에도 수백, 수천명이 바라보는 그 '한 사람'은 같지 않습니다. 한 사람은 여여하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의 한 사람이건만 많은 사람들이 그 한 사람을 보는 시선은 사람 수대로 수백, 수천으로 달라집니다.
지금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 글쓴이에 대해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들 중 어느 한 분이라도 똑같은 모습으로서의 글쓴이를 인지하지 못합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들 모두는 '자기 잣대만큼의 글쓴이'를 인지할 뿐입니다. 이 말은 곧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있는 그대로의 글쓴이는 오직 하나이지만 글쓴이를 보는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글쓴이'를 천차만별의 잣대로 인지합니다.
그처럼 우리의 눈은 정견(正見)의 바라봄이 되지 못합니다. 온통 자기가 지어 쌓아온 만큼의 업식(業識)따라 제 멋대로 세상을 봅니다. 온갖 분별심을 투영하여 세상을 봅니다. '과연 나는 분별하지 않고 세상을 보고 있는가'하고 수행자는 언제나 스스로에게 반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테면 사람을 보더라도 생김새, 출신, 학벌 등과 상관없이 처음보는 그 사람을 여여한 마음으로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는 질문입니다.
깨달음의 시선은 무분별(無分別), 무소유(無所有), 무소득(無所得), 무집착(無執着)의 시선으로 어디에도 걸림이 없는 편견 없는 맑은 시선입니다. 분별하지 않는 마음, 소유하지 않는 마음, 얻고자 하지 않는 마음, 그렇기에 집착하지 않는 맑은 마음입니다. 있는 그대로의 세상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분별하지 않으며, '내것이다, 네것이다' 소유의 관념을 짓지 않고, 아집 때문에 내것으로 얻고자 하지 않습니다. 어디에도 걸림이 없고 집착이 없는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무분별의 맑은 시선입니다.
일체(一切), 즉 모든 대상은 이름 지을 수도 없고, 분별 지을 수도 없고, 소유할 수도 없으며, 집착할 수도 없는 부득이 말로 한다면 '그저 그런 것' 일 뿐입니다. 숭산스님의 말씀처럼 '오직 모를 뿐'인 겁니다. 이름 지을 수 없고 분별할 수 없기에 '이것이 무엇인가(이뭣고)' '나는 누구인가' 했을 때 앞뒤가 꽉 막혀 버리고, 말을 꺼낼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화두(話頭)'입니다. 오직 '의문'만이 남게 됩니다.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이 이렇듯 간단하면서도 어렵기도 합니다. 깨달음을 추구하는 우리 생활수행자 밝은 도반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마음 연습을 해나가는 일입니다. 그 연습은 깨달음으로 가는 연습이며, 부처님 마음으로 사는 연습이 됩니 다. 그러한 편견 없이 '바라보기'는 일체 대상 을 대함에 있어 '무분별' '무소유' '무소득' '무집착'으로 보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공(空)의 실천이며, 방하착(放下着)의 생활수행 실천이 되는 것입니다.
고정관념과 편견어린 시선을 버리고, 분별하지 말고, 소유하려 들지 말고, 얻으려 들지 말고, 집착하려들지 않음, 그래서 일체 대상을 다 내려놓고 가는 방하착(放下着)의 생활실천을 하는 것입니다.
2009.01.28 글쓴이:법상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안의 중심(中心)이 나를 이끌도록 하라. (0) | 2021.03.12 |
---|---|
무아(無我)인데 윤회(輪廻)하는 주체(主體)가 있나요? (0) | 2021.03.12 |
어떤 대상을 보는 것은 그대로 내 마음을 보는 것이다. (0) | 2021.03.10 |
외롭게 사는 즐거움 (0) | 2021.03.10 |
너무 독특한 남자친구와 결혼해야 할까요? (0) |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