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공부.(160.................../무불
자비심과,
보리심,을 함양하기 위해서 불교의 가르침 이 있다.
幸福에서 바라는 肉體는 무엇일까.?
幸福을 위해서는 內面의 眞情한 資源인 마음 바탕을 알아야 한다.
外的으로 허둥지둥 하지 말고, 內面의 고요한 寂靜을 다스러야 한다.
모든 사람들이 幸福을 外的인 곳에서 찾으려는 잘못된 生覺을 가지고 있다.
眞情한 幸福의 源泉의 샘물은 自己 안에 있다.
같은 條件이라도 各己 다른 意識을 가진 人間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른 것이다.
실패와 고통, 고행을 통해서 만이 얻어지는 것이 幸福이다.
성불 과 성취, 성공의 행복은 길고 긴 忍辱의 시련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아름답게 늙어 가는 자신들이 되라.
세상을 어떻게 살아왔는 가의 반영이 아름다움 으로 나타난다.
아름답게 늙어가는 사람은, 內的인 忍辱행을 通해서 自己 省察을 하고 사는 사람 들이다.
肉體와 精神을 슬기롭게 돌봐야 한다.
靈魂的 重要性을 觀照하는 智慧와 眼目을 가지고 自己를 다루어야 한다.
世上에서 가장 所重한 보배는 자신의 肉身이다.
외적인 모습.운동. 화장.옷차림도 필요하지만 .
육체의 건전한 사고와 의식함양을 고취시키는 일이 더욱 필요하다.
건전하고, 건강한 마음, 스트래스가 없어야 건강한 육신이 된다는 것이다.
편안한 잠자리, 충분한 음식, 충분한 수면,등 이러한 종류의 충족도 필요하지만
몸이 편안하게 유지되는 原動力은 역시 마음 작용이라 본다.
마음이 便安하게 유지될때 육체와 마음이 서로 合하여 '하나'가 된다.
목표가 있고, 꿈이 있고, 금메달을 따려는 목표가 있을때,
몸이 힘들어도 정신적으로 행복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
그래서 행복은 금 메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고통과 시련. 힘든, 훈련 과정의 땀이 행복감 을 주는 것이다.
사람의 강건함 정신적 만족이 육체적 어려움을 이길수 있다는 말이다.
慈悲는 부처님의 中心이다.
인간이 가지고 인류가 알아야 할 최우선의 헌법이요,가치다.
행복은 삶의 중심이다,
행복 하려면 땀을 흘러야 한다..
오늘 우리의 삶 에서.
육체와 정신을 障碍하는 증오와 분노을 잘 다스리는 마음공부가 참 으로 필요하다.
"음식의 생명은 맛 이다.
맛의 생명은 무엇일까.?
..........맛의 생명은 간 에 있다."
꽃이 씨앗에만 머문다면 꽃이 아니다.
씨앗이 썩고 싹이 나서 바 바람 눈보라를 거처서 꽃을 피워야 꽃이다.
부부의 사랑도 그와 마찬가지다.
행복의 꽃을 피우기 위해 희생하는 씨앗의 아픔을 잘 이겨내야 한다.
의심 하지 말고, 믿고 서로 신뢰 하여야 한다.
따지지 말고, 比較하지 말고, 分別하지 말고. 受容하며 理解하고 보듬어주어야 한다.
가정은 부처님이 계시는 법당 이다.
가정은 인류가 지향 하는 최우선의 보금자리다.
행복한 가정에서 아름답게 늙어 가는 모습이
참,부처님 모습이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 장례식에 초대합니다." (0) | 2012.08.30 |
---|---|
[스크랩] 생명은 이 순간 바로 여기에 (0) | 2012.08.30 |
세상과의 관계 (0) | 2012.08.30 |
감사하면 감사할 일만 생긴다 (0) | 2012.08.29 |
거울을 닦는 여자 (0) | 2012.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