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취어상 여여부동 (不取於相 如如不動) / 춘식스님
금강경 사구게 가운데
"불취어상 여여부동 (不取於相 如如不動)
즉 바깥의 모양을 취하지 않아
여여하여 움직이지 않느니라" 했거든.
밖이 꿈인데 왜 집착을 해?
그것이 불취어상이야.
꿈이니까 자연히 놓아지지 않아?
그것이 여여부동이야.
놓아서 어디갔어?
여기있잖아,
놓을 데가 없어....
옛날에 양엄존자가 조주스님을 찾아와서
"한물건도 가져오지 않을 때는 어떻습니까?" 했거든
"놓아버려라" 조주스님이 말하니까
"한물건도 가져오지 않았는데 무엇을 놓으라 하십니까?"
"놓지 않으려거든 가져가거라" 했어.
그러니까 놓아버려라 하는데 빠지면 않돼.
놓아도 나고 놓지 않아도 나야.
그것을 깨달아야 한다.
짊어질 수도 없고 놓을 수도 없는거야.
그게 자기야.
버릴 수도 없고 놓을 수도 없는 그걸 깨달아야
다시 매(昧)하지도 않고 다시 증득할 필요도 없어.
부처님의 팔만 사천 법문이 다른 사람이 아닌 오직 '나' 한 사람의 성불을 위한 가르침이라는 것,
다른 누구의 깨달음도 참된 깨달음이 아니라 오직 '나' 자신이 깨달을 때 참 부처가 출현하는 것이요,
불교가 성립되는 것이란 이야기를 이른바 '밥 먹는 이야기'로 친절하게 설명해 주신다.
내가 직접 밥을 먹어보기 전에는 결코 밥을 먹었다 할 수 없다는 비유이시다.
- 원명님이 올린 법문
출처 : 부처와 새말귀 ( 新話頭 )
글쓴이 : 청산녹수 원글보기
메모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에게로 돌아오라 (0) | 2014.11.02 |
---|---|
[스크랩] 허공이 모자람 없듯 (0) | 2014.11.02 |
[스크랩] 자기 자신의 눈이 밝지 못하면 스스로 속는다 / 춘식 스님 (0) | 2014.11.02 |
노래로 세상과 어깨동무했던 '마왕' 신해철 (0) | 2014.11.01 |
지금 이순간, 이자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0) | 201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