鏡虛 惺牛 대선사
경허 선사가 연암산 천장암 인근 지장암이란 토굴에서 머물 때의 일화다.
낡고 헐어 벽에 틈이 벌어지고 문창이 뒤틀린 암자를 수리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불장(佛藏)에 보관되어 있던 經典을 모조리 뜯어 풀을 바른 후
문이나, 벽, 방바닥, 천장까지 남김없이 바르는 것이 아닌가.
암자로 찾아간 제자들이 이광경을 보고 깜짝 놀라 물었다.
“스님, 聖스러운 經典으로 이렇게 벽과 바닥을 발라 도배 장판을 하여도 됩니까?”
경허 선사는 태연히 대답했다.“자네들도 이러한 境界에 이르면 이렇게 해보게나.
” 토굴로 찾아간 제자들은 스승의 깊은 境地에 삼배를 올리고 물러나왔다는 선화(禪話)다.
경허 스님의 이러한 境地는
불상을 올라타고 불쏘시개로 쓴 단하천연 선사의 境地나,
경전을 ‘똥 닦는 휴지’라고 표현한 임제 선사의 境地와 다름이 없다.
이런 意識의 狀態는 우리가 거룩하게 生覺하는
經典이나 佛像, 佛이나 祖師라는 固定觀念을 훌쩍 超越한 상태이다.
임제록의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라”(逢佛殺佛 逢祖殺祖)는 境地다.
觀念 槪念 生覺 妄想 煩惱에서 벗어나 끌려가지 말라는 뜻에서 ‘죽이라’는 표현을 한 것이다.
이른바 살불살조(殺佛殺祖)의 가르침은 부처(佛)와 조사(祖師)라는
固定된 觀念 槪念 生覺 妄想과 先入見, 分別心, 執着心을 打破하라는 가르침이지
實際로 부처와 조사를 죽이거나 무시하라는 망언이 아님은 물론이다.
임제 선사는 이 대목에서“설혹 부처와 法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모두 名稱과 말과 文字일 뿐이다.
佛이나 祖師나 法이라는 이름은 어린아이들을 달래기 위한 사탕일 뿐이다.
病에 따라 쓰는 藥일 뿐이다(應病與藥)”일 뿐이라고 일깨우고 있는 것이다.
一切의 分別心과 妄想 煩惱 妄念을 벗어난 무심(無心) 道人에게는
衆生의 病을 治癒하기 위한 온갖 8萬4千 法門이 아무 所用이 없는 것이다.
그래서 鏡虛 선사도 “부처님이 말씀한 모든 法은 온갖 分別心을 없애기 위해서다."
"내게는 이미 分別心이 없거니 그 모든 法이 무슨 所用이 있으리요" 라고
당신 마음의 境地, 心境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경허집)
물론 부처와 衆生, 菩提와 煩惱, 옳고 그름(是非), 사랑하고 미워함(愛憎) 等의 양변(兩邊)의 分別心을
버리지 못한 衆生心으로 이러한 훼불(毁佛) 行爲를 한다면 그는 혹독한 댓가를 치러야 할 것이다.
그러한 망설임과 후회, 두려움 없이 스스로 부처와 조사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工夫를 시작해야 할까.
그것은 의외로 간단하다. 分別心을 버리라는 것이다.
三祖 승찬 대사는 [信心銘] 첫 머리에서
“지극한 도는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요 단지 취사선택하는 것을 꺼려할 뿐이니,
미워하고 좋아함에 얽매이지 많으면 단박에 오롯이 깨닫게 되리라
”(至道無難 唯嫌揀擇 但莫憎愛 洞然明白)고 하였다.
마조 선사는 [마조록]에서
“만약 곧바로 道를 알고자 한다면
是非도 없고, 취사(取捨)도 없고, 단상(斷常)도 없으며, 범성(凡聖) 등의 差別心, 分別心도 없는
平常心 그 마음이 道다.”라고 같은 말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가.
좋고 싫음(好惡), 아름다움과 추함(美醜), 길고 짧음(長短), 옳고 그름(是非), 取捨 등의
世間的인 分別心은 물론이거니와 眞理를 向한 길에서도 善惡, 衆生부처, 菩提煩惱 등
思量分別心을 잠시도 쉬지 않는다. 一切의 分別과 妄想이 끊어진, 물들지 않은 무심(無心),
淸淨한 本來의 마음[本來淸淨心] 平常心으로 人生을 사는 것이 선(禪) 修行의 骨髓 임을
銘心 또 명심해야 한다. 여기에는 조사니 간화니 묵조니 하는 수행법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대주 선사는 “일체처무심(一切處無心)이 해탈(解脫)이다”고 하였다.
이른바 ‘一切處에 無心하다’는 것은 一切處 一切時에 증애심(憎愛心) 卽, 分別心이 없는 것이다.
좋은 일을 보고도 사랑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나쁜 일을 보고도 미워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分別심, 差別心, 憎愛心이 없이 無心으로 사는 生活은 淸淨한 平常心으로
日常生活을 智慧롭고 無碍自在하게 깨어있는 마음 意識으로 살아가는 삶이자 수행이다.
이것을 언제 어디서나 生活化하면 話頭를 들 必要도 없이, 어떤 境界가 오더라도 끄달리지 않는다.
그렇게 되면 임제 선사가 입이 닳도록 말한 隨處作主 立處皆眞 卽,
“어디를 가나 주인으로 행세하면 서 있는 곳 그대로가 모두 참된 것이다”라는 말을
수긍하는 날이 올 것이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의 시작과 원론 (0) | 2015.03.05 |
---|---|
[스크랩] Re:심우도 (0) | 2015.03.05 |
살아있는 경전 (0) | 2015.03.02 |
삶과 죽음에 대한 사유 / 진리의 앎, 가치 있는 삶이란? (0) | 2015.03.02 |
시대에 따라 진리도 변하지만 (0) | 201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