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의 모든 生命現象은 成住壞空(성주괴공) 원리
오늘날의 우리는 뉴턴과 엥겔스 시대에 가능하였던 自然에 대한 未熟한 理解가 아니라 現代의 成熟한 自然科學이라는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바탕으로 過去의 그 어느 때보다도 훌륭한 世界觀을 마땅히 구축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現實은 이와 아주 다르다. 오늘의 우리는 우리 문명이 지니는 모순에 대해 그 반성적 기초를 지니고 있지도 못하고, 이러한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世界觀, 宇宙觀을 제시하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 배경 속에서 서구 문명과 여러 면에서 그 맥락을 달리하는 동양적 세계관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은 어쩌면 아주 당연한 일이다. 그 중에서도 特히 佛敎의 世界觀은 여타의 다른 宗敎와 달리 自然 科學의 成果와 모순되지 않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서 正合的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물론 全 宇宙的 眞理가 하나의 統一的 全切를 이루는 것이라면, 그에 대한 여러 表現은 물론 서로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歷史 속에서 自然科學의 世界觀과 宗敎的 世界觀이 서로 모순되는 경우를 많이 보아왔던 것이 또한 사실이다.
불교와 과학은 아주 異質的인 것처럼 보인다. 佛敎의 窮極的 關心은 태어나면서부터 어쩔 수 없이 안고 있는 存在論的 苦痛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혹은 그로부터 어떻게 解放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며, 自然科學의 關心은 自然의 世界를 어떻게 더 잘 理解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잘 應用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이야기하는 內容이나 主題도 무척 달라 보인다.
이러한 差異點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20세기 이후에 자연과학의 세계 이해의 성과가 불교의 세계관에 접근하여 간다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經驗은 一切의 事物이 서로의 聯關性 위에서만 存在할 수 있다는 것을 確認한 現代科學의 成果 위에서 가능해진다. 이는 곧 佛敎에서의 연기론(緣起論)에 基礎한 世界觀을 自然科學이 豫證해 주고 있음을 말한다.
그래서 불교 공부를 한 사람이 현대과학이 제시하는 世界象을 보거나 현대 과학을 공부한 사람이 불교의 世界觀을 볼 때, 이 두 世界 사이에 놀라운 聯關이 存在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것은 마치 큰 山을 오르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을 때, 그 各各의 길이 서로 다르다고 하더라도 그 모든 길이 하나의 같은 산 안에 품어 지는 것과 같다. 두 길을 따로 오르는 사람들은 頂上에 다다르기까지 그들이 같은 山을 오른다는 事實조차 모를 수도 있지만, 頂上에 이르고 나면 똑같은 山을 올랐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佛敎와 科學은 山에 오르는 方法 自體를 아예 달리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마치 헬기를 타고 山 頂上으로 가는 方法과 밑 에서부터 한 걸음씩 걸어서 頂上에 이르는 方法에 비유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찰나멸론, 현대물리학서도 성립 불교 전체를 표현하는 핵심적인 단어가 있다면 그건 아마도 無常과 無我, 緣起와 空이 될 것이다. 無常에서 시작해서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상에는 變하는 것과 變하지 않는 것이 있다고 生覺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런데 부처님은 ‘諸行無常’, 일체의 모든 것은 예외 없이 다 變한다고 하셨다. 왜 그런지를 우리와 가까운 곳에서부터 살펴보자.
우리나라에는 석회암 동굴이나 광산이 많은데. 이는 먼 옛날에는 그 지역이 바다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석회암은 산호나 조개껍질 등이 침전되어 고정되면서 만들어진 퇴적암이므로, 그 형성 시기에는 이들 지역이 조개와 같은 해양생물이 살 수 있는 얕고 따듯한 바다였다는 것이다. 히말라야나 알프스와 같은 고산 지역도 바다였다고 한다. 아프리카 대륙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밀어올린 게 알프스 산맥이고 인도-호주 대륙과 유라시아 대륙이 衝突하면서 밀어 올린 게 히말라야 산맥이다. 이런 충돌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어서 이들 산맥은 지금도 조금씩 높아진다고 한다.
그래서 이들 지역에는 지금은 존재하지도 않는 삼엽충이나 암모나이트 같은 생명체의 흔적이 퇴적암 층에 새겨져 있다. 이들 地形은 數十 億 年 동안 進行된 地球 生命의 歷史와 地殼 變動의 歷史를 우리 에게 전해주고 있다.
그런데 過去에는 존재했지만 지금은 사라진 生命體가 삼엽충이나 암모나이트, 공룡 같은 것만은 아니다. 지금 이 瞬間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生命種의 數는 歷史上 地球上에 언젠가 存在했었던 生命種의 千分의 일도 되지 않는다. 이는 우리가 지금 보는 生命種의 천 배가 넘는 種이 이미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모든 것이 예외 없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生老病死하는 개개의 生命體뿐 아니라 生命種도 進化 하면서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적도에 있던 땅이 북쪽으로 이동하고 바다가 산이 되고 산이 바다가 되면서 地球의 모습도 變해간다. 그리고 언젠가는 지구의 자전이 멈출 수도 있고 태양의 빛이 사라질 수도 있다. 그래서 이 宇宙 全切가 모두 成住壞空하는 無常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가, 짧은 시간 동안에 아무런 變化도 없다면 긴 시간 동안에도 變化란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긴 시간이란 짧은 시간, 즉 瞬間의 모임 혹은 瞬間의 持續이므로 瞬間的인 變化가 없다면 긴 시간에 걸친 變化도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無常은 永遠하지 않다는 意味뿐 아니라 刹那에 生滅하면서 變化한다는 意味도 또한 지녀야 한다.
印度의 論理學이 만들어 낸 이 刹那滅論은 現代物理學에서도 成立한다. 原子는 原子核과 電子로 이뤄져 있고 原子核은 다시 無數한 素粒子로 이뤄져 있는데, 그 素粒子의 壽命은 100만분의 1초가 안 된다. 이렇게 瞬間的으로 生成되고 瞬間的으로 消滅하는 素粒子들로 原子가 만들어지고 그 原子에 依해 우리의 世界가 이뤄지니,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은 겉으로 보기에는 조금 前의 모습과 같은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 바로 이 瞬間에도 刹那에 消滅하고 生成하는 것이다. 이처럼 瞬間瞬間 變化하는 宇宙, 찰라에 生滅하는 世上에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다.
每瞬間 이뤄지는 消滅과 生成의 連續的인 循環은 獨立的으로 일어나는 個個의 事件이 아니라, 素粒子 全切의 긴밀한 相互聯關과 相互依存의 맥락 위에서 일어나는 無限한 循環 過程의 한 單片이고 한 素粒子의 消滅이 다른 素粒子의 生成으로 連結되어 이어지는 輪廻의 過程이다. 여기서 注意해야 할 點은 한 素粒子가 그대로 다른 消粒子로 變하면서 무언가가 그대로 持續되는 소박한 輪廻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러한 輪廻 그건 無我를 否定하는 일이다.
여기서 언급하는 輪廻는 한 素粒子의 消滅이 다른 素粒子의 生成에 影響을 미치면서 서로 分離될 수 없는 全切의 過程을 만들어낸다는 意味이다. 그래서 消滅과 生成은 持續되는 하나의 事件도 아니고 동시에 斷絶된 두 개의 獨立된 事件도 아니다. 소멸하는 소립자와 생성되는 소립자는 같은 소립자가 아니면서도 이어지는 소립자, 不一不二의 素粒子다. 그래서 輪廻하는 無我, 無我의 輪廻가 成立한다.
生과 滅이 이렇게 無限한 過程의 한 部分일 수밖에 없는 理由는 一切의 모든 것이 無我이면서 서로 依存 하고 서로 聯關되는 世界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眞空場, 波動, 에너지, 素粒子, 原子, 分子, 細胞를 거쳐 生命의 世界와 天體의 世界에 이르기까지 宇宙森羅萬象萬物 모두가 相互 依存과 聯關의 構造를 지닌다. 그러므로 宇宙 全切, 世界 全切는 無我의 存在者들이 모인 無常의 世界다. 이 無我와 無常의 存在者들이 서로서로 聯關하여 依存함으로써, 卽 緣起함으로써 世上, 宇宙가 이뤄진다. 이 緣起의 世上를 살펴보자.
緣起的 構造에서 나타나는 奇蹟은 個個의 存在者에게는 없던 屬性이 相互 依存과 聯關의 맥락 위에서 새롭게 發現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수소와 산소 原子로 물 分子가 이뤄지지만 各各의 산소 수소 原子를 아무리 들여다봐도 물 分子의 屬性은 드러나지 않는다. 물 分子의 屬性은 수소나 산소 原子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수소와 산소 原子가 서로 相互 依存하고 聯關되는 關係의 맥락에서 創發되기 때문이다. 이 창발의 과정 때문에, 原子를 이해했다고해서 分子를 이해할 수 없고 分子를 이해했다고해서 생명물질을 이해할 수 없으며 生命物質을 이해했다고 細胞를 이해할 수 없고 세포를 이해했다고 生命體를 이해할 수 없다. 逆으로 보면, 사회나 역사나 문화는 個個人의 行爲로 還元되지 않고 生命은 細胞로 환원되지 않으며 細胞는 物質로 환원되지 않는다.
이런 상호 의존과 연관성을 뜻하는 연기를 經에서는 갈대의 묶음, 바퀴 등이 모여서 만들어지는 수레, 목재와 풀과 볏집과 공간으로 이뤄지는 家屋 등으로 비유한다. 여기서 注意해야 할 부분이 있다. 바퀴 등의 部分이 모여서 수레라는 全切를 이루지만, 수레라는 全切가 없다면 바퀴는 바퀴의 役割을 하지 못하므로 더 이상 바퀴라고 할 수조차 없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바퀴, 부품 등의 部分으로 수레라는 全切가 이뤄지기도 하지만, 各各의 部分은 수레라는 全切에 依存해서만 各各 그 意味를 가진다. 따라서 各各의 部分은 全切를 이루는 다른 部分에 依持해 있을 뿐 아니라, 全切는 各各의 部分에 依持해 있고 各各의 部分은 또한 同時的으로 全切에 依存하는 構造를 지닌다. 그게 緣起적인 세상 우주의 구조다.
이와 같이 이 모두는 各各의 要素가 모두 無我 無實體이기 때문에 벌어진다. 92種의 原子가 모두 變치 않는 各各 그 스스로의 本質, 本性을 지니고 있다면, 世上은 宇宙는 92가지의 多樣性 밖에는 없었을 것 이다. 92種의 原子가 모두 無我無實體的이어서, 수소 原子가 산소 原子를 만나면 물이 되고 炭素 原子를 만나면 메탄가스가 될 수 있기 때문에 世界의 無數한 多樣性이 可能해진다.
原子에서 分子, 生命物質, 細胞, 生命體, 生態界의 단계를 거치면서 그 各各의 段階의 存在者들이 모두 無我無實體이기 때문에 無限한 相互 依存과 聯關의 可能性, 無限히 緣起하는 可能性의 場이 열리게 된다.
이렇게 모든 存在者가 無我無實體的이고 無自性하기 때문에, 그 모든 存在者는 홀로 스스로 存在할 수 없고 따라서 모두 緣起의 構造 連結網 안에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緣起的으로 生成하고 消滅하는 存在者의 性稟은 그 自體가 텅~비어 空한 것이다.
이렇게 모든 存在者인 色의 性稟 自體가 空하기 때문에, 색성공(色性空)이 成立한다. 따라서 空은 아무 존재자도 없다는 것도 아니고, 지금은 뭔가 있어도 언젠가는 허무하게 사라진다는 것도 아니며, 뭔가 존재하는 듯이 보여도 사실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것도 아니고, 現實이라는 世界가 色이고 理想의 世界가 空이라는 것도 아니다.
空이란? 存在者의 性稟이 그 自體로 空하다는 것이어서 언제나 存在者인 色과 함께 하는 空, 곧 中道의 空이다. 우리가 숨 쉬고 사는 이 世上은 無我와 無常의 存在者들로 이루어진 緣起와 空의 中道의 世界다.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道는 명료‧뚜렷함을 위한 인식의 극단 넘어선 상태 --중도/ 상 (0) | 2015.05.15 |
---|---|
종교가 참일 확률은? - (포항공대 강병균 교수) (0) | 2015.05.14 |
생명전자란 무엇인가? (0) | 2015.05.13 |
당신의 인생을 확 바꾸려면??? (0) | 2015.05.13 |
[기고]수행 지침서 '신심명' 해석, 오류 많다' (0) | 201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