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즉, 분별심을 쉬는 것이 깨달음이다 / 월호스님
마음은 크게 두 가지 입니다. 첫째는 참 마음이요, 둘째는 거짓 마음입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平常時에 나다 남이다, 맞다 틀리다, 좋다 싫다 하는 區分하고 分別하는 마음은
어떤 마음일까요? 分別하고 區別하는 마음은 모두가 거짓 마음입니다. 本來의 마음, 참 마음이 아닌
거짓 마음입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이 거짓 마음인 구분하고 분별하는 마음을 自身의 참 마음인
줄 알고 있으니 어찌 안타깝지 않겠습니까. 이런 錯覺은 마치 도둑을 誤認하여 자기 自身인 줄 착각
하는 것과 같습니다.
거짓 마음인 구분하고 분별하고 분리하는 마음이 할 줄 아는 게 딱 한가지 있습니다. 그것은
是非하고 分別하고 比較하고 判斷하고 解釋하는 일 딱 한 가지 입니다. 거짓 마음은 善과 惡으로
나누고, 利益과 損害로 가르며, 나와 남으로 구분하는 일에만 몰두할 뿐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거짓 마음인 分別心, 分別意識은 과연 우리 마음 어디쯤에 있을까요? 거짓 마음은 本來 마음(참
마음)의 안과 밖, 중간, 그 어디에도 없는 고정된 실체가 없는 허망한 마음입니다. 본래부터 마음
(참 마음)에는 固定된 實體가 없기 때문이지요. 固定된 實體가 없는 마음을 가지고 거짓 마음 참
마음이 어디에 있느냐고 묻고 답하는 짓 自體가 어리석은 행위입니다. 이런 어리석은 짓은 마치
허깨비가 어디에 있느냐고 묻는 것과 같습니다. 꿈, 신기루, 물거품, 그림자, 이슬이, 번갯불이 어
디에 있느냐고 묻는 것과 마찬가지인 顚倒夢想(전도몽상, 꺼꾸로 잘못된 꿈 같은 幻想)입니다.
거짓 마음인 分別心은 因緣 따라서 느닷없이 생겼다가 홀연히 사라지는 까닭에 固定되게 定해진
處所가 있을 수 없습니다. 분별심인 거짓 마음 그 存在 自體가 虛妄한 텅~빈 空이기 때문 입니다.
虛妄한 거짓 마음인 온갖 가지 분별심을 固執하고 執着하여 아무 고정된 실체가 없는 분별심을
나와 同一視 하여 ‘나’로 삼는 까닭에 生과 死라는 輪廻가 거듭되는 것입니다. 허망한 거짓 마음인
분별심은 因果를 주고 받고, 받고 주면서 끊임없이 왔다가 가고, 갔다가 오는 無常한 마음입니다.
結局 고정불변하는 실체가 없는 이 거짓 마음인 虛妄한 分別心이야말로 生死輪廻의 主體이며,
生死의 原因이라고 말할 수 있는 허망한 마음입니다.
그러므로, 고정불변하는 실체가 없는 허망한 거짓 마음인 분별하는 생각 분별하는 마음을 닦는다고
말은 하지만, 事實 닦을 거짓 마음인 분별심이라는 것이 없습니다. 固定된 實體가 없는 텅~빈 바탕
宇宙虛空을 닦을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입니다. 虛空을 닦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거짓 마음,
분별하는 생각, 분별심은 다만 쉬어줄 수 있을 뿐입니다. 시시때때로 일어나는 虛妄한 거짓 마음인
分別心, 분별하고 나누는 생각을 쉬어주는 일이야말로 진정한 마음공부입니다.
그래서 ‘분별심을 쉬는 것이 깨달음 (歇卽菩提/헐즉보리)’인 것 입니다. 이렇게 分別心, 거짓 마음을
쉬게 하면, 本來의 마음이 自然스레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波濤가 쉬면 本來의 바닷물이 선명
하게 드러나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本來의 맑고 잔잔한 바다에는 온갖 모습이 있는 그대로 비춰져
있습니다. 파란 하늘은 파랗게 하얀 구름은 하얗게, 둥근 것은 둥글게, 모난 것은 모나게 지금 여기 이
자리에 있는 그대로 말입니다.
本마음은 變하지 않습니다. 예컨대, 어려서 섬진강을 바라보던 때의 마음의 性稟이나, 나이가 들어서
섬진강을 바라보는 지금 마음의 性稟이나 둘 다 똑 같은 마음의 성품입니다. 비록 몸은 쭈굴쭈굴해
지고 늙었을지언정, 섬진강을 바라보는 마음의 性稟 그 自體는 결코 쭈그러들거나 늙지 않고 항상
영원히 똑 같기 때문입니다. 또한, 몸을 돌려 左右를 돌아보십시오. 그럴 때, 얼굴이나 눈은 몸의 움직
임을 따라가지만, 좌우를 돌아보는 텅~빈 바탕 마음의 性稟 그 自體는 전혀 움직임이 없습니다.
종소리를 듣는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종을 치면 종소리가 생겨나서 이어지다가 이윽고 사라집니다.
종소리는 어디에서 생겨나서 어디에서 이어지다가 어디로 사라진 겁니까. 그 종소리가 생겨나고
이어지고 사라진 곳이 아무것도 없고 아무것도 아닌 정말 보잘것 없는 오직 단 하나뿐인 텅~빈 바탕
공간마음인 바로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입니다. 하지만 종소리를 듣는 텅~빈 바탕 마음의 性稟은
종소리와 함께 생겨나지도 않을 뿐더러 사라지지도 않습니다. 즉, 종소리는 生滅/生死가 있지만, 종소
리를 듣는 텅~빈 마음의 性稟은 生死가 없는 불생불멸의 마음, 본래마음이기 때문 입니다. 더나아가,
몸은 잠이 들어도 生滅이 없는 텅~빈 마음의 性稟은 잠드는 적이 전혀 없습니다. 生滅이 없이 불생불
멸하기에 전혀 잠이 없는그 텅~빈 바탕 마음의 성품 덕분에, 꿈 속에서도 生時와 마찬가지로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 보고, 촉감을 느끼고, 생각을 하고, 말을 하고, 여기 저기 가고싶은 대로 다 다닐
수 있는 것입니다.
듣는 마음의 性稟이나 보는 마음의 性稟이나 모두 한 가지 성품으로서 本마음인 것 입니다. 이러한
‘본 마음, 참 나, 참 마음’의 性稟은 不生不死, 不去不來, 不增不減, 不垢不(불구부정) 입니다. 생겨나는
것도 아니고 없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예컨대 바다에 빙산이 떠 있다고 할 때, 바다는 本래의 마음이며
빙산은 몸과 마음과 같은 것입니다. 빙산의 드러난 부분은 몸뚱이요, 물 아래 숨겨진 부분은 거짓 마음
(분별심, 분별하는 생각) 입니다. 빙산은 바다에서 생겨났다가 녹아내리면서 바다로 돌아갑니다. 빙산
이 녹으면 바다로 돌아가는 것처럼 몸뚱이에 대한 愛着心과, 거짓 마음인 分別心만 쉬면 우리의 마음은
本래의 마음 자리, 텅~빈 空性의 바다로 돌아갑니다.
빙산을 녹이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따뜻한 空氣 입니다. 따라서, 愛着心과 分別心을 쉬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내 마음 속에 온화하고 따뜻한 사랑의 氣運을 품는 것 입니다. 일체중생을 모두 나처럼 혹은 내
가족처럼 생각하고, 사랑하는 것 입니다. “일체중생을 사랑하리라. 대가를 바라지 않고 베풀리라.” 하고
마음을 다짐하는 것 입니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림의 봄소식은 여태도 살아있다. (0) | 2016.02.21 |
---|---|
본래의 나 (0) | 2016.02.21 |
마음 스스로의 성품은??? (0) | 2016.02.20 |
인간의 몸과 마음은 불타고 있는 모닥불 같은 것 (0) | 2016.02.19 |
깨달음 이후의 깨달음 (0) | 2016.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