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타불(阿彌陀佛)이 우리들의 참 이름입니다
사람들이 참선(參禪)을 한다 하더라도 석가모니부처님 경전을 상당히 배워서 어떻게 참선을 할 것인가. 또 참선을 해서 올라가는 경지는 어떤 경지가 있는가. 이런 것을 알아야 한단 말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마땅히 그냥 경전을 보지 않고서 참선만 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참선 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경전 아까 말씀드린 대로 어떻게 참선을 할 것인가. 또는 참선을 해 갈 때에 그 차례는 어떤 것인가. 이런 높고 낮은 단계를 우리가 알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교학(敎學) 교리(敎理) 공부를 해야 되는 것입니다. 또는 어떤 분들은 염불(念佛)하는 공부가 제일 좋지 않는가. 염불은 그 무슨 교리를 안 배워도 염불은 할 수가 있는 것이고, 염불하면 그때그때 마음도 재미지고 몸도 개운하고 또는 우리한테 부처님의 가피(加被)도 있고 또는 선신(善神)들이 우리를 도와주고, 이러니까 꼭 염불하면 다른 것은 거기에 다 들어간다. 이렇게 말합니다. 물론 염불에 그런것이 다 들어 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염불도 역시 염불삼매(念佛三昧)라, 염불삼매가 무엇인가 하면, 삼매(三昧)란 우리 마음을 오로지 하나로 모우는 것이 삼매지 않습니까. 삼매도 깊은 삼매 또는 얕은 삼매 그런 삼매의 종류가 많이 있습니다. 헌데 아무튼 우리 마음을 하나로 모우는 공부가 삼매란 말입니다.
삼매나 참선이나 같은 뜻입니다. 참선도 이렇게 하다보면 차근차근 우리 마음이 하나로 모아진단 말입니다. 우리 마음은 지금 산란스럽기 때문에 마음을 하나로 모우고 모아야 그래야 그 뭉친 마음의 힘으로 해서 사람들의 근본번뇌(根本煩惱), 근본무명(根本無明)을 다 녹인단 말입니다. 그래가지고서 깨달음이 오는 것인데, 염불도 마땅히 오랫동안 하다보면 그때는 염불삼매에 들어갑니다.
염불삼매에 들어가면 그때는 어떤 것이 있는고 하면 다른 삼매도 물론 그러하나 특히 염불삼매는 그 염불삼매 가운데서 극락세계(極樂世界)를 훤히 맛본단 말입니다. 우리가 금생에 산채로 극락세계 갔다 온 사람도 있고 또 여러 가지 그런 말씀들이 많이 있지 않습니까. 그런 것도 역시 염불삼매에 대해서 확실한 증거를 다 제시한 그런 경전도 보고 했으면 좋은데 경전을 안 보고서 그냥 덮어 놓고서 암중모색(暗中摸索) 하듯이 그렇게 해서 삼매를 좀 얻어 놓으면 그때는 그것이 그 극락세계에 갔다 왔다는 말입니다. 그런 표현들이 아주 그냥 서투른 표현들이 많이 있다는 말입니다.
어떤 서투른 표현인가 하면 꼭 이 몸 가지고 극락세계에 간다든가 또는 우리 몸을 어디다 두고 극락세계에 간다든가 이런 말씀들이 사실은 우리 불교에서는 굉장히 서투른 표현입니다. 어째서 그런고 하면 비단 염불삼매 뿐만 아니라 우리가 참선을 하던지 간에 우리가 오로지 마음이 하나로 딱 모아지면 정말로 극락세계를 분명히 보는 것입니다.
마음이 하나로 모아지면 어째서 극락세계를 우리가 보게되는 것인가. 우리가 사는 이 현실세계는 이른바 사바세계(裟婆世界)라고 하지 않습니까. 극락세계 반대말이 사바세계입니다. 우리는 지금 사바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있는데 사바세계는 여기가 있고 또 어느 한계 저 공중에 높이 올라가면 극락세계가 있다. 이렇게 생각한 사람도 있지 않겠습니까. 저 공중으로 얼마만치 타고 올라가면 그때는 아, 공중에 공해도 없고 좋은데 거기가면 극락세계가 있지 않을 것인가.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단 말입니다.
그러나 사바세계와 극락세계 그것은 그런 것이 아닙니다. 불자님들 깊이깊이 잘 명심(銘心)해서 들으시기 바랍니다. 극락세계와 사바세계사이에는 어느 국경선이나 한계가 있는 것이 아니단 말입니다. 그 아까 제가 서두에 우리 마음의 그런 창고, 우리 마음의 보배 곳집을 발굴하라 그런 말씀을 드리지 안했습니까. 우리 마음이 얼마만치 우리 마음의 그런 보배를 얼마만치 파낼 것인가. 우리 마음이 얼마만치 깊을 것인가. 거기에 따라서 똑 같은 세계도 더 흐리게 보이기도 하고 더 맑게 보이기도 하고 그러는 것입니다.
우리가 공양을 할 때도 기분 좋아서 먹을 때와 기분 나빠서 먹을 때와 소화 기능이 다르지 않습니까. 또는 똑 같은 생활을 한다 하더라도 여러 가지 여건이나 자기 마음이 유쾌할 때는 모두 것이 다 좋게 보이고 말입니다. 우리 마음이 슬플 때는 그렇게 그 영롱한 달빛만 본다 하더라도 눈물이 펑펑 나온단 말입니다. 그러나 또 기분이 좋은 사람이 본다고 생각할 때는 달님이 빵긋이 웃고있는 것으로 보일 수가 있지 않겠습니까.
이렇게 모든 존재는 인간 마음 따라서 그때그때 변화가 된단 말입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중생이 사는 사바세계도 우리 마음이 청정해서 성자의 그런 눈으로 본다고 생각할 때는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 이대로 다 극락세계로 우리한테 그렇게 투영(投影)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실은 극락세계는 어디에 가고 오고 하는 것이 아니단 말입니다. 꼭 지금 여기 떠나서 날개 타고 어디 가 가지고 날아서 보는 것이 극락세계가 아니라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에 앉아서 염불삼매라든가 참선삼매라든가 삼매에 든다고 생각할 때는 극락세계를 훤히 체험한단 말입니다. 그러기에 대승불법(大乘佛法)의 돈오법문(頓悟法門)에서는 사바세계(裟婆世界) 즉 적광토(卽寂光土)다. 즉 우리가 사는 이 현실세계가 곧 극락세계라는 말입니다. 사바즉적광(裟婆卽寂光)이라!
적광토라는 말이 극락세계란 뜻입니다. 사바세계는 아까 말씀드린 대로 우리가 사는 이 현실세계란 말입니다. 우리가 사는 사바세계와 극락세계 사이네 그런 경계선이나 한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깊이 명심해서 들으시기 바랍니다, 천지우주(天地宇宙)가 본래(本來) 극락세계입니다. 천지우주가 본래로 적광토라, 적광토(寂光土) 이것은 청정(淸淨)한 광명토(光明國土), 텅~비어 공적한 밝은 세계란 뜻입니다
안락(安樂)만 있고 행복(幸福)만 있고 영원적인 그런 아주 그야말로 조금도 고통이 없는 사무친 그런 행복스런 세계가 극락세계 아닙니까. 그런데 극락세계가 그 인간이 사는 이 현실세계를 떠나서 저 어디 높은 허공에 올라가서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단 말입니다. 어째 그런고 하면 극락세계라는 것은 무변무량(無邊無量)의 세계입니다. 끝도 없고 테두도 없는 세계가 극락세계란 말입니다. 끝도 갓(테두리)도 없다고 생각할 때는 우리가 사는 이 현실세계도 끝도 없고 테두리도 없는 세계, 극락세계 그 속에 다 포함되어 있습니다. 깊이 생각하십시오. 우리 가 살고있는 이 현실세계도 극락세계에 다 포함되어 있단 말입니다.
그러기에 보배는 어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극락세계에 가서 보배를 얻어오는 것도 아닌 것이고, 어느 신통자재(神通自在)한 도인들한테 타가지고 오는 것도 아닌 것이고 우리 스스로의 마음 곳집 우리 스스로 마음의 보배 그 보배 문(門)만 열어 놓으면 언제 어느 곳이나 모두가 다 극락세계 아님이 없습니다. 그런데 그 극락세계를 우리가 감견(感見)이라, 느낄 감(感)자, 볼 견(見)자, 우리가 평소에 없는 것을 느껴서 보는 것을 감견(感見)이라 그럽니다. 그런데 삼매에 들면 극락세계를 우리가 스스로 감견(感見) 한단 말입니다. 느끼고 보는 것입니다. 한 걸음도 옮기지 않고서 지금 여기서 삼매에 딱 든 그대로 이 몸 그대로 이 몸을 어디 공중 까지 솟아 올라가서 어디에다 맡기고 극락세계에 가고 그럴 필요가 없단 말입니다.
참선 하나 염불로 하나 마찬 가지입니다. 우리 마음이 삼매에 들면 그때는 참선(參禪) 염불(念佛) 주문(呪文)이 다 하나가 되어 버립니다. 어째 그런고 하면 삼매에 든다는 것은 우리 마음이 무념무상(無念無想) 무심(無心) 상태에 든단 말입니다. 우리 마음은 그래저래 잡스러운 생각들 때문에 고요하지 못하고 항시 소란스럽고 산란하니까.
우리가 물을 본다 하더라도 명경지수(明鏡止水)라, 밝을 명(明) 자, 거울 경(鏡) 자, 티끌 하나 없는 그런 맑고 밝은 거울이나 또 그칠 지(止) 자, 물 수(水) 자, 물결이 치지 않는 그런 잔잔한 물이나 이렇게 되어야 이제 우주삼라만상(宇宙森羅萬象)이 거울 같이 맑은 잔잔한 물 거기에 비춰오지 않습니까. 바다에서 파도가 치면 그냥 여러 가지 모양도 이그러져 보인단 말입니다. 그와 똑 같이 인간 마음도 파도가 치고 산란스런 마음에서는 바른 모양이 비춰올 수가 없습니다. 우리 마음이 잔잔하니 우리 마음을 한 데 모아야 하고 우리 마음을 모우기 위해서는 우선 철저한 계행(戒行)을 지켜야 됩니다.
도덕적인 계행(戒行) 실천이 없으면 되는 것이 아니단 말입니다. 그러기에 석가모니부처님 말씀도 시라불청정(尸羅不淸淨) 삼매불현전(三昧不現前)이라! 계행이 청정해야 그래야 인제 삼매가 나온단 말입니다. 우리들은 아무런 준비 없이 삼매를 얻을 라고 해서는 안 됩니다. 이렇게 준비가 필요하단 말입니다. 준비가 필요한 것은 이것은 세간적으로 도덕(道德)을 철저히 지켜야 됩니다.
부부간에도 아주 정조를 지켜서 정말로 절조 있는 내외간이 되어야 할 것이고, 또는 나이 드신 어른들한테는 우리가 공경해서 받들어야 할 것이고, 또는 本來 眞理에서 본다고 생각할 때는 나와 남이 둘이 아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남한테 많이 베풀어야 한단 말입니다. 베풀 것이 없으면 그때는 말로 베풀면 됩니다. 부드러운 말, 또는 유연스러운 말, 자비로운 말, 이런 것은 말로 베푸는 것입니다. 또는 표정으로 베푼다, 우리 얼굴로 베푼단 말입니다.
업장(業障)이 많은 사람들은 얼굴도 찌푸리고 그냥 보면 다시 보고 싶지 않은 그런 사람이 있지 않습니까. 그러나 항시 명랑한 사람은 다시 보고 싶고 또 보고 싶고 한단 말입니다. 그것은 우리 얼굴로 보시(布施 )하는 것입니다. 마음 보시라, 마음 보시는 돈 안 드리고 하는 보시입니다.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행복을 기원 한단 말입니다. 어떻게 그 사람의 행복을 기원 할 것인가 자기와 그 사람과 딴 사람이 아니 단 말입니다.
부처님 법은 항시 기본적이고 근원적인데서 출발해야 됩니다.
남한테 베풀 때도 저 사람이 지금 곤란스러우니까 이제 내가 베풀어야 되겠다. 이렇게 베푸는 것은 범속한 사람들이 베푸는 것이고, 불교 신앙을 갖은 사람들이 베푸는 것은 저 사람과 나와 절대로 본래로 둘이 아니다. 그 본래(本來)라는 말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새삼스럽게 지금 새롭게 둘이 아니게 지어서가 아니라 본래 그대로 본래 생긴 대로가 본래 둘이 아니단 말입니다.
우리 불자님들, 부처님 법은 자기 마음을 자기 범부심(凡夫心), 중생심(衆生心, 분별심(分別心)을 온전히 비우는 것입니다. 자기 마음을 온전히 비운다고 생각할 때는 그 보다도 더 행복스럽고 그 보다도 더 축복스러운 것은 없습니다. 왜 그런고 하면 이것은 금생에 지금 자기 남아 있는 몇 십년 인생을 위해서도 가장 중요한 일이고, 또는 금생으로 해서 우리 인생이 끝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출처 :솔향기 그윽한...마차산 우리절 무심정사 원문보기▶ 글쓴이 : 본연스님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이라는 주님의 품에 머무는 삶 (0) | 2017.11.07 |
---|---|
얼굴은 마음을 비춰주는 거울입니다 (0) | 2017.11.07 |
즉비(卽非)의 논리 (0) | 2017.11.05 |
무상(無常)의 법칙 (0) | 2017.11.04 |
내 마음의 투영(投影)인 이 세상 (0) | 2017.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