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사랑이라는 주님의 품에 머무는 삶

장백산-1 2017. 11. 7. 15:34

2017년 11월 6일 연중 제31주간 월요일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사랑이라는 주님의 품에 머무는 삶


어떤 신부님께서 예전에 제가 그 신부님께 드렸던 예화모음 파일을 다시 좀 줄 수 있냐는 부탁의

말씀을 하셨습니다. 예화모음 파일은 제가 10년 가까이 모아놓았던 자료인데, 같이 공유하려고

몇 년 전에 그 신부님께 드렸던 것이지요. 그런데 그 신부님께 그것을 다시 드릴 수가 없었습니다. 

그 예화모음 자료를 저 혼자 쓰기 위해 드리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만 저의 실수로 이 파일을 

컴퓨터에서 삭제해서 아예 자료가 없기 때문입니다. 


솔직히 그 당시에 얼마나 아까웠는지 모릅니다. 오랫동안 그리고 정말로 많은 자료를 주제별로 

모았기 때문에, 강론을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다시 복원하기 힘든 상태가 

되었으니 어떻게 하겠습니까? 아까워하는 마음을 금할 수 없었지만, ‘살다보면 그럴 수도 있지 뭐. 

더한 일도 있는데 뭘 신경 써.’라고 말하면서 스스로를 위로하며 넘어갔습니다. 지금 현재는 제가 

모아놓은 예화집은 없습니다. 


그러나 없어지길 오히려 잘 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ㄷㅗ 예화모음집이 있다면 여러모로 편할 

수는 있겠지만, 이 예화의 틀, 감옥, 고정관념이라는 틀에 갇힐 확률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예화집이 

없다보니 세상을 살아가면서 자그마한 것에도 관심을 갖고 세심하게 관찰을 하게 됩니다.  이로써 

새로운 생각과 다양한 묵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예화집이 없는 편이 훨씬 더 이롭다는 것을 이제야 

깨닫습니다. 어떤 것에 갇혀 있을 때, 갇혀있는 그것에서 절대로 자유로울 수가 없습니다. 어쩌면 

이 세속적인 세상의 물질, 돈, 명예, 지위, 사회적 영향력, 권력도 역시 마찬가지로 틀이 아닐까요? 

‘내 것’이라고 여기면서 내것이라는 생각의 틀, 감옥, 고정관념의 틀에 갇혀 있을 때, 내 이웃을 향한 

사랑은 물론이고 이 세상 모든 것, 우리에게 큰 사랑을 주시는 주님의 뜻에 맞게 살아가기도 힘들게 

됩니다.


즉, ‘내 것’이라고 여기는 생각의 감옥에 오래 머물면 머물수록 주님의 다른 이름인‘사랑’을 외면할 

수밖에 없습니다. 주님께서는 사람들을 초대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말씀하십니다. 네 친구나 

내 형제자매, 내 친척이나 부유한 이웃을 부를 것이 아니라, 가난하고 힘들어하는 이들, 장애인들, 

다리 저는 이들, 눈먼 이들을 초대하라고 하시지요. 


솔직히 나와 아무 상관도 없는 사람들을 초대한다는 것이 쉬울까요? 또한 내게 별 이득을 주지 않을 

것 같은 사람들을 초대해서 대접한다는 것 역시 이 세상의 상식에서는 크게 벗어나는 행동이 될 것

입니다. 하지만 이 세속적인 세상에서 보답을 받지 않아야 하늘에서 보답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행복

하다고 말씀하시지요. 사람들이 이 세상의 모든 것에 갇혀 있지 않기를 바라는 주님의 말씀입니다.


사실 영원히 내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이 세상에 과연 무엇이 있겠습니까? 하늘의 부름을 받아 

하늘나라에 갈 때, 내가 그토록 애지중지했던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을 함께 가지고 갈 수 없습니다. 


벌거벗은 아무것도 없이 빈 몸으로 이 세상에 왔듯이, 하늘나라에 돌아갈 때에도 아무것도 없이

벌거벗은 빈 몸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 자연의 이치입니다. 이 땅에서 주님의 뜻에 맞게 

실천을 한 사랑의 마음 생각, 사랑의 말, 사랑의 행동, 이 사랑의 행위들이 인정을 받아 가장 큰 

보답을 받는 순간이 하늘나라에서입니다. 그곳에서는 영원한 생명, 영생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할까요? 

이 세상의 모든 것에 갇혀 사는 삶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주님의 품에 머무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