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사 척정 (斥情)
척斥은 물리치는 것이고, 정情은 정욕情慾이다 기쁨과 성냄이 있으면 바른 마음을 얻지 못하고, 좋아함과 미워함이 있어도 바른 마음을 얻지 못하며 편안함과 즐거움만을 구하여도 바른 마음을 얻지 못하고, 가난함과 천함을 싫어해도 바른 마음을 얻지 못한다. 바른 마음을 얻고자 한다면 먼저 그러한 정욕을 물리쳐야 한다.
(원문)
斥 却也 情 情慾也 有喜怒則不得正心
척 각야 정 정욕야 유희노즉부득정심
有好惡則 不得正心 求逸樂則不得正心
유호악즉 부득정심 구일악즉부득정심
厭貧賤則不得正心 慾正心 先斥情慾
염빈천즉부득정심 욕정심 선척정욕
(해설)
第 12 事 에서 정심이란 하늘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는데(正心者 正天心也) 第 16 事에서는 정심이 있어야만 엄숙한 마음이 일어나서(人包正心 嚴氣一于動作) 미혹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 정심을 이루기 위한 실천적인 방법으로 아홉가지를 들었는데 그중의 하나가 제 20사 척정이다 그 아홉가지 실천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 10용 의식 (意植) 마음에 뿌리를 내림 (제13사)
제 11용 입신 (立身) 바르게 몸을 세움 (제14사)
제 12용 불혹 (不惑) 미혹에 바지지 않음 (제15사)
제 13용 일엄 (溢嚴) 엄숙함이 가득차 넘침 (제 16사)
제 14용 허령 (虛靈) 없음에서 나타나는 령 (제 17사)
제 15용 치지 (致知) 깨달음에 이름 (제18사)
제 16용 폐물 (廢物) 사물의 이치를 열지 않음 (제 19사)
제 17용 척정 (斥情) 정욕을 버림 (제20사)
제 18용 묵안 (默安) 멈추어 집착을 끊음( 제21사)
'한민족의 뿌리 역사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 18 사 치지 (致知: 誠 2 體 15 用) (0) | 2011.01.31 |
---|---|
[스크랩] 제 19 사 폐물 (閉物: 誠 2 體 16 用) (0) | 2011.01.31 |
[스크랩] 제 21 사 묵안 (默安: 誠 2 體 18 用) (0) | 2011.01.31 |
[스크랩] 제 22 사 불망 (不忘: 誠 3 體 ) (0) | 2011.01.31 |
[스크랩] 제 23 사 자임 (自任: 誠 3 體 19 用) (0) | 201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