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대주혜해스님이 마조스님을 찾아갔습니다.
마조스님이 “어떻게 왔는가” 물으니 대주스님이 “불법을 배우러 왔습니다”라고 했습니다.
그러자 마조스님이
“너한테 있는 寶物倉庫는 어떻게 하고 내게 法을 求하러 왔는가” 하고 말했습니다.
대주스님이 “나에게 있는 보물창고가 무엇입니까” 또 물으니 마조스님이
“네가 묻는 바로 그놈이다”라고 했습니다.
운문스님은 부처님이 誕生하고 동서남북 七步를 걷고 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
말씀하신데 對해 “부처님을 때려서 죽게 해 개에게 먹이로 주겠다”고 했습니다.
이렇듯 마조스님이 말씀한 個個人이 本來 갖고 있는 ‘寶物倉庫’를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대주스님이 마조스님이 묻는 “그놈이 寶物倉庫”라는 소리를 듣고 깨쳤습니다.
깨치고 보니 本來 우리가 부처로 存在하고 있다는 얘기를
제가 옛 고사를 통해 신도들에게 말씀드린 것입니다.
우리는 수행을 하거나 깨치거나 상관없이 本來부처로서 存在하고 있습니다.
이 事實을 아는 것을 修行이라 하고, 이것을 아는 것을 깨쳤다고 합니다.
임제스님이 깨친 얘기를 하겠습니다. 임제스님은 황벽 회상에서 열심히 수행하고 있을 때,
목주스님이 대중 가운데 임제스님이 제일 진실하게 공부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는
임제스님에게 “조실 스님에게 法에 대해 물었는가” 하니 임제스님이
“무엇을 물어야 할지 몰라서 못 물어봤습니다”라고 답했습니다.
그러자 목주스님이
“그럼 조실스님에게 가서 불법의 적적대의(的的大意)에 대해 물어라”고 했습니다.
임제스님이 황벽스님에게 물으니 몽둥이로 20방을 때렸습니다. 맞고 나오니
목주스님이 또 물었다. “조실 스님이 뭐라 하시던가.”
“몽둥이로 때리셨습니다.” “그럼 또 가서 물어라.”
그렇게 해서 세 번을 가서 물었는데 모두 몽둥이를 맞고 나왔습니다.
그러자 임제스님이 난 황벽스님과 인연이 없는가 보다 하며 다른 회상서 공부해야 겠다고
마음 먹고 목조스님에게 말씀드렸습니다. 그러자 목주스님이
“네가 여기서 3년간 스님의 은혜를 입고 살았는데 인사를 드리고 가라”고 말했습니다.
그런 후 황벽스님에게 가서 “임제가 진솔히 수행하고 있으니 잘 지도해 주십시오”
라고 부탁드렸습니다.
임제스님이 황벽스님에게 작별인사를 하자 “대우스님이 계신 곳으로 가라”고 하셨습니다.
먼 거리를 임제스님이 걸어서 대우스님을 찾아갔습니다.
이 분이 걸어가면서 ‘왜 때렸을까’라는 生覺이 話頭가 돼서
잠시도 간단없이 의심하면서 갑니다.
그 후 대우스님을 만나 인사 드리고 황벽스님에게 맞은 얘기를 했습니다. 임제스님이
“내가 무슨 허물이 있어 세 번이나 몽둥이로 때리셨는지 알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임제스님이 황벽스님을 떠나 대우스님에게 가는 내내 매맞은데 대해
잠시도 生覺을 놓지 않았다는 증거입니다.
대우스님은 “너를 위해 정말 노파심으로 깨치게 하기 위해 때렸는데 왜 怨望心을 품고 있느냐”고 하자 거기서 임제스님이 깨달음을 얻습니다.
임제스님은 깨달음을 얻은 후 “황벽 불법도 별거 아니네”라고 말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대주스님이 깨닫고 나서 “이 자리는 깨달음과 상관이 없구나”라고 한 것과 같은 말입니다.
임제스님의 말을 들은 대우스님이 “무엇을 봤길래 그러느냐” 하니 임제스님이
대우스님의 옆구리를 세 번 쥐어박았습니다.
대우스님이 보니 황벽스님과 家風이 같았습니다.그리고
“너는 황벽스님의 제자가 되라”하고 돌려보냈습니다.
황벽스님이 마당을 거닐다가 임제스님이 돌아온 것을 보고
“그렇게 돌아다니고 언제 工夫하겠는가”하고 꾸짖었습니다.
![]() |
||
여기부터 제가 각색하겠습니다.
임제스님은 “스님의 알량한 자비 때문에 그 먼 곳에 다리품을 팔고 왔습니다”라고 답했다.
왜 그랬을까요. 깨치게 해주지 않았습니까.
황벽스님이 보니 갈 때와 달랐습니다.
“대우스님을 만나고 왔느냐. 거기서 무슨 일이 있었는가” 물으니
임제스님이 있는 그대로 말씀 드렸습니다. 그러자 황벽스님은
“대우 그놈 나중에 만나면 혼내줘야겠다”고 했습니다.
당신의 상좌를 깨닫게 했는데 왜 혼을 내주나.
임제스님이 “기다릴 거 뭐 있습니까. 스님이나 대우스님이나 똑같은 사람 아닙니까” 하면서
황벽스님을 후려쳤습니다.
우리가 세속적인 입장에서 보면 스승을 때렸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깨달아서 그 마음을 얻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은 우리가 本來부처라는 것을 確認하는 過程이라는 것입니다.
제가 여기 올라온 것은 너무 부끄러운 일입니다. 우리는 다 完成돼 있습니다.
<金剛經>에도 宇宙의 모든 存在를 태(胎) 란(卵) 습(濕) 화(化) 有情 無情 有相 無相
非非相處 등 9가지로 나눴는데 모두가 完成돼 있는 것입니다.
사람만이 完成돼 있는 것이 아닙니다. 完成돼 있는 것을 도로 回復하기 위해 우리가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제가 아는 것 없지만 고사(古事)를 들어 설명한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가 어떻게 하면 本來부처의 存在로 돌아가
행복하게 살 것인가에 대한 案內門을 설명하겠습니다.
설악산 등 경치 좋은 곳에 가려면 노정기(路程記)가 필요하듯이
우리도 本來자리로 돌아가기 위해서 路程記가 필요합니다.
여러분도 路程記를 通해 本來 完成돼 있는 그 자리에 돌아가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처님이 2600년 전에 왕자로 태어나 몸짱, 얼짱에 학문 권력까지 갖췄습니다.
세속적 기준으로 보면 부족한 것이 없는 분이셨습니다.
다만 어머니 일찍 돌아가신 것에 마음 아파 생로병사에 대해 고뇌하고,
당시 인도의 사성계급으로 인해 하층민이 고통 받고 있는
불평등한 사회 현상을 보며 고뇌하셨습니다.
인간이 平等하게 幸福하게 삶을 살 수 없을까 해서
出家를 단행해 모든 수행집단에 가서 체험을 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苦惱가 解決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獨者的으로 붓다가야
보리수 아래서 정(定)에 들었다가 새벽별을 보고 깨달음을 얻습니다.
깨달음을 얻자 個人的 苦惱가 모두 解決되고 깨달음대로 生活하면
잘못된 社會制度도 고칠 수 있다는 確信을 얻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교단을 조직해 깨달은 내용을 전파하며 포교한 것이 불교입니다.
2600년 후에도 한국에서도 개개인 스님이 깨달아 사회의 여러 계층에서 고통 받는 이들을,
物質 制度도 중요하지만 물질 제도를 갖고 사는 그 마음을 바꿔야 행복하게 살기 때문에
마음을 바꾸는 집단으로서 교단이 운영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 |
||
그러면 부처님은 도대체 무엇을 깨달았나? 우리와 무엇이 달라졌나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은 그동안 살아오면서 ‘나’라는 生覺을 前提하면서 살아왔습니다.
'나'라는 生覺을 1秒도 놓지 않았습니다. 부처님이 깨닫고 보니 '나'라는 生覺이 問題였습니다.
'나'라는 生覺 이것 때문에 모든 사람이 苦痛을 당하면서 살아왔던 것입니다.
부처님이 깨달았다는 것은 存在原理를 바로 봤다는 것입니다.
自身이 본 存在原理로 自身을 보니 내가 있다고 살아왔던 시간들이 너무 잘못됐던 것입니다. 여기 계시는 신도들도 예외는 아니라고 봅니다.
'나'라고 生覺한 것이 잘못됐다고 하는데
그러면 부처님은 '나'라는 存在를 어떻게 본 것일까요?
부처님이 깨친 얘기를 論理的으로 說明하겠습니다.
'나'라는 生覺이 있어 그동안 삶이 잘못됐다면 '나'를 어떻게 봐야 眞實 되게 보고
마음이 바뀌어 每日每日 幸福하게 살아가는 契機가 될 수 있겠습니까.
부처님이 깨달은 後에 個個人을 어떻게 봤을까요.
사람뿐 아니라 이 宇宙의 모든 存在가 같은 原理에 依해 存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있다는 것이 아니고 내가 중도(中道)로서 存在하고 있다고 봐야 바로 보는 것입니다.
그러면 中道는 무엇인가. <般若心經>에서 오온(五蘊)이 개공(皆空)이라고 했습니다.
五蘊이 皆空하면 모든 苦痛에서 벗어난다는 뜻입니다. 五蘊은 肉身과 精神입니다.
색(色)은 몸뚱이 肉身, 수상행식(受想行識)은 精神입니다.
몸뚱이와 精神이 空한 것을 알면 모든 苦痛에서 벗어난다는 겁니다.
몸뚱이와 精神이 空함을 아는 것이 中道입니다. 부처님이 中道를 理解하니
우리가 旣存에 봐왔던 存在原理 말고 하나가 더 있더랍니다.
中道를 쌍차(雙遮), 쌍조(雙照)라고 설명합니다.
몸뚱이/肉身이 있다고 본 것은 雙照에 해당합니다.
雙遮는 못보고 있으니 바로 보지 못한다. 雙遮는 五蘊이 공(空)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저는 이 雙遮 雙照를 손(手)으로 比喩합니다.
내가 본다는 것(雙照)을 손바닥이라고 하면, 雙遮는 손등입니다.
손에는 손바닥과 손등이 아울러 있지, 어느 한쪽만 하나만 있지 않습니다.
이처럼 손바닥과 손등처럼 雙照라고 할 때 雙遮는 恒常 붙어있습니다.
그 反對도 마찬가지로, 分離돼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잠시 刹那에도 생멸(生滅)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理解하는 것을 中道라 합니다.
中道를 理解하면 마음이 굉장히 便安하고 智慧롭고 幸福感을 느낍니다.
이것을 부처님은 깨달았습니다.
우리는 이것(손바닥)만 있다고(此有) 여기지만 저것(손등)도 같이 있습니다(彼有).
이를 <般若心經>에서 空이라 했는데 왜 그랬을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옛 사람은 이를 소박하게 비유했습니다.
시골에 가면 새끼가 있고 망태기, 짚신이 있습니다.
그것들의 모양과 쓰임새가 모두 다르지만 그것들을 만든 材料는 짚입니다. 이와같이
南女가 다르고 美國人과 韓國人이 다르지만 그것들을 만드는 材料, 卽 ‘本質’은 '하나'입니다.
때로는 연기(緣起)이기 때문에 空이라고 합니다.
緣起는 우리가 單一로 獨立돼 存在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내가 있다, 나는 단일된 독립 개체라고 생각하고 생활하는, 그 사고가 잘못됐다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地水火風 4가지 元素가 몸뚱이를 構成하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現代科學은 어떻게 말할까요.
1965년 노벨 物理學償을 수상한 리처드 파인만이라는 학자는
몸뚱이가 單一로 獨立된 것이 아니라 數億萬個의 原子 덩어리로 構成됐다고 밝혀냈습니다.
또 현대 물리학자들은 宇宙가 무(無)에서 誕生됐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우리들의 肉身은 數億萬個 原子 덩어리이자 100兆個의 細胞 덩어리입니다.
單一로 獨立된 個體가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는 獨立된 個體로 보면서 '나'에 대해
愛着을 느끼고 물불을 가리고 않고 싸우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의 歷史입니다.
해묵은 얘기지만 미국 인종갈등이 이런 理由로 發生하는 것입니다.
'내'가 더 優越하다고 生覺하기 때문입니다.
![]() |
||
우리나라는 地球上 유일하게 이데올로기 갈등으로 분단돼
核을 만들고는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또 지구상 가장 갈등을 많이 하고 있는 것이
종교 갈등입니다. 다른 종교를 비방하려고 하는 말이 절대 아닙니다.
한국은 불교가 넉넉한 마음을 갖고 있어 戰爭이 안 일어났지, 相對가 하는 대로 따라했으면
우리도 전쟁이 일어났을 겁니다.
불교는 아무리 핍박을 하고 위해를 주더라도 똑같은 존재로 봅니다.
個個人이 갖고 있는 것을 자성(自性)이라 하고 이 自性들을 統合하면 법성(法性)이라 합니다. 이 둘은 分理된 것이 아닙니다.
인종, 민족, 이데올로기 등 모든 것을 초월할 수 있는 것이 불교입니다.
우리가 힘이 없고 논리가 부족해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끝까지 부처님이 發見한 存在原理를 理解하고 體驗하고
그 마음으로 생활하고 삶을 살면 개인도 주변 사람도 便安하고 幸福하게 됩니다.
제가 中道를 理解하고 달라진 것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첫째로 雙遮/雙照를 理解하고 나서 남과 나를 比較하지 않습니다.
雙遮로 보면 하나인데 이를 모르니 나와 남을 比較하는 것입니다.
앞집 아이는 서울대 가는데 넌 왜 그 모양이냐고 합니다. 남과 나를 比較하여
대형차를 탄 사람과 비교하지 않으며 소형차를 탄 사람이 훨씬 더 행복합니다.
둘째로 雙遮 雙照 中道 緣起를 모를 때는 저와 주변에 失望하기도 했습니다.
차라리 俗家로 갈까 등 갈등도 많았습니다.
中道를 理解하고 나니 제가 하고 있는 生活과 일이 너무 價値가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도 둘러보니 그들도 價値 있고 意味 있는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中道를 理解하면 이 世上에 價値 없고 意味 없는 일은 하나도 없습니다.
<아함경>에서 그 대목을 찾아봤습니다. 부처님 당시에 똥 푸는 청년이 있었는데,
그 사회에서 가장 낮은 賤民이기도 했습니다. 그는 부처님과 마주치는 것을 괴로워 했습니다. 汚染시키겠다는 生覺에 부처님을 보면 도망갔습니다. 부처님이 그의 마음을 읽어보니
生覺을 잘못하기 때문에 苦痛을 받을 뿐 本心은 착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마음을 中道로 바꿔줘야겠다 여겼습니다.
그 청년이 도망가면 부처님이 앞질러 마주쳤습니다.
“저를 괴롭히지 마십시오.
전 천민이고 냄새도 나고 위대한 분 옆에 가는 것만으로도 죄 짓는 것 같습니다” 하니
부처님은 “네가 잘못 生覺하고 있다. 그 生覺을 바꾸라.
賤民이라는 것은 힘 있고 많이 가진 이들이 부려먹으려고 만든 制度이지
태어날 때부터 賤民과 貴族이 어디 있는가. 그들에게 속지 말라.”
청년은 “똥 푸는 것은 천하지 않습니까” 하니 부처님은
“아니다. 고관대신이라도 국민을 괴롭히는 사람이 많다. 너는 고관대신이 아니더라도
남이 안하는 것을 대신해 남을 돕고 너를 돕는 일을 하고 있으니 고관대신보다 훨씬 났다.”
다음 날부터 청년은 부처님을 만나지 않으면 못 견뎠습니다. 그날부터
부처님이 뒷집 아저씨, 옆집 할머니로 보인 것입니다. 두려움이 없어졌습니다.
결국 똥 푸던 청년은 出家해서 큰 道人이 됩니다.
천한 직업을 가졌지만 마음은 착하게 살았습니다. 그
런 분은 훨씬 빨리 깨닫습니다. 比較하지 마십시오.그러면
自身이 하는 일에 對한 價値와 意味를 알게 됩니다.
세 번째는 自主的인 사람이 됩니다. 저는 지금도 내 빨래를 直接 합니다.
올해 일흔일곱이니 아직 할 수 있습니다. 남이 하는 것이 不便합니다.
處士들이 이 말을 들으면 틀림없이 설거지를 할지 모릅니다. 그리고
價値와 意味를 알고 比較하지 않으니 다른 사람의 職業과 性格 등을 認定하게 됩니다.
夫婦간에 性格이 안 맞아 다투다보니
OECD 회원국 가운데 離婚率이 最高 높다고 하지 않습니까.
비교하지 않고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안 되서 그런 것입니다. 손가락도 길고 짧습니다.
이렇듯 길고 짧은 것으로 是非하면 결국 이혼하게 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긴 것은 긴 것대로 짧은 것은 짧은 것대로 서로서로 認定하면 됩니다.
이것이 疎通입니다. 政治도 進步와 保守가 서로 認定하고 함께
국민을 위해 智慧롭게 議論해 오순도순 정치하면 얼마나 잘 살겠습니까!
갈등으로 因해 없어지는 우리나라의 돈이 270조원이라고 합니다.
3년 전 얘기입니다. 거의 국가 예산과 맞먹습니다.
270조원을 갖고 반값 등록금이든지 복지든지 모든 것을 얼마든지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마음만 바꾸면 됩니다. 돈 드는 것이 아닙니다.
中道를 제대로 理解하고 政治하는 이는 낭비 않고 모든 국민들이 잘 살게 하고
가정에 계신 신도들, 처사나 보살이 中道를 理解하면 앞서 말한 네 가지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를 불교에서 智慧라 합니다.
불교만이라도 부처님 가르침대로 中道를 이해해 마음이 바뀌어 개인과 가정이 잘 살면
사회와 국가에도 영향을 미쳐 남북문제, 여야 갈등, 개인 삶의 질 등이
좋은 방향으로 바뀌어 매일매일 좋은 날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저는 出家할 당시 폐결핵을 심하게 앓는 등 누구보다 마음이 아팠던 사람입니다.
절에 와서 부처님이 깨달은 세계, 卽 中道를 理解하니 지금 정말 幸福합니다.
中道가 부처님이 깨달은 世界이자 우리 存在의 原理임을 잊지 말고 工夫하기를 바랍니다.
성철스님의 <백일법문>을 보면 부처님 가르침은 結局 中道라는 것이
어느 책보다도 쉽게 쓰여 있다. 이를 보면 中道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선서화전’을 하고 있는데 그 글귀도 모두 中道입니다.
저도 선사들의 글귀를 족자에 담아 보고 있습니다. 그 글귀가 제 스승입니다.
오늘 여러분들도 스승이 될 만한 글귀가 있으면 한 점을 방에 걸어놓으면 工夫하는데
도움이 되고, 그 工夫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개인적으로 행복하게 하고 이웃과
더 나아가 국가, 세계도 행복하게 하는데 분명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