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道’의 또 다른 이름 ‘緣起’
緣起 이해하면 세상 이해도 높아져
他人 공감하는 능력도 향상
고(苦) 줄여주는 좋은 수단
<佛法과 世間法은 둘이 아니다. 항상 듣는 이야기지만 우리는 現實에서 끊임없이 自와 他를 區分짓어서 스스로
苦를 만들어낸다. 원철 스님은 불교 기본 교리인 緣起의 理致을 빌어 佛法이 2천5백년전 세존께서 설명한 박제된
理論이 아니라 지금의 복잡다단한 현대 사회를 설명해 줄 수 있는 有用한 道具임을 계속 주지시켰다.
緣起 卽, 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實踐的 삶으로 連結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스님은 사랑, 간고등어 등을 예로 들며
緣起論에 관한 풍부한 해석을 시도했다. 8월 24일 서울 길상사에서 있었던 원철 스님의 일요법회를 들여다본다. >
![]() | ||
▲ 원철 스님은 법전 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1987년 해인사에서 일타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1990년 범어사에서 자운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했다. 해인사승가대와 은해사승가대학원을 졸업한 후 동국대 대학원에서 석ㆍ박사를 마쳤다. 해인사 승가대학과 실상사 화엄학림 강사, 해인사 승가대학 교수, 불교문화대학 선학과 강사, 월간 <해인> 편집장, 포교원 신도국장, 총무원 기획국장, 총무원 재정국장, 교육원 불학연구소장을 지냈다. 현재는 해인사승가대학의 학장 소임을 맡고 있다. |
불교적 삶의 방식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自身의 生覺와 行動에 對해 나름대로 自己만의 틀을 부여합니다. 때문에 어떤 狀況에 대해서
어떤 選擇을 할 것인가는 내가 살아온 삶의 方式, 이제까지 삶에서 經驗한 情報와 知識이 모여서 決定하게 됩니다.
많은 價値觀 속에서 自己 나름의 삶의 준거 틀을 前提로 해서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瞬間瞬間 최선이라고
生覺하는 것에 맞춰 살겠다는 이들도 있을 것입니다. 물론 아무 生覺이 사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죠. 그러나 自身이 세우고 있는 前提가 과연 옳은가 아닌가에 대해서 點檢하는 마음의 태도가 필요하지는 않을까요.
우리는 부처님을 스승으로 모시고 불교적 가치관을 삶의 基準으로 삼겠다고 다짐합니다.
佛敎的 삶의 方式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이에 관한 이야기는 경전에 많이 나와 있고 여러 사람들이 제각각 말하고
있지만 共通的인 말은 緣起를 빼놓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緣起가 무엇입니까? 存在하는 이 世上 모든 것들은 條件의 모임이고 그 條件의 모임이 흩어졌을 때 存在 現象 또한 없어진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永遠한 것을 찾고 變하지 않는 것에 必要 以上으로 執着합니다. 그러나 存在 現象의 本質은 無常이고 無我입니다.
佛敎에서는 緣起를 法이라고 표현합니다. ‘緣起를 보는 자 法을 보고, 法을 보는 자 緣起를 보게 된다’고
부처님은 이르셨죠. 또한 <잡아함경>에서는 緣起의 理致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차유고피유(此有故彼有)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차기고피기(此生故彼生) 이것이 생기기 때문에 저것이 생긴다.
차무고피무(此無故彼無) 이것이 없기 때문에 저것이 없고,
차멸고피멸(此滅故彼滅) 이것이 사라지기 때문에 저것이 사라진다.
緣起는 存在가 時空間的으로 서로 重重無盡으로 重疊되어 이리 저리 얽혀 있다는 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얘기해왔지만 부처님이 체계화, 논리화, 이론화시키고 이 작업에 가장 많은 능력을 투자하신분이죠.
時空間的 緣起
時間的 緣紀를 이야기 해봅시다. 희랍 철학자는 우리는 두 번 다시 똑같은 강물에 들어갈 수 없다고 말하죠.
강물도 나도 끊임없이 흐르면서 變해가니까요. 끊임없이 時間的 緣起 속에서 變하고 흘러가는 것입니다.
사랑(love)을 두고 어떤 이는 變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는 反面 反對로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랑에는 여러 가지 모습이 있습니다. 움직이는 面도 있고 고정적인 面도 있습니다. 내가 어떤 마음의 態度를
갖느냐에 따라 사랑의 모습이 다르게 보이기 마련입니다. 그렇기에 사랑은 무엇이다라고 斷定的으로 말하는
이들은 한 쪽 邊에 치우쳐 生覺하는 것입니다. 20대가 말하는 사랑은 至高至純하고 永遠하지만, 인생을 어느
정도 살아낸 50대는 사랑은 變하는 부분이 있다고 받아들이게 됩니다. 다만 사랑이 오래 갈 수 있는 條件이
늘 유지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하는 거죠.
불교적으로 사랑을 이야기한다면 내 안에서 相對를 수시로 사랑하고 수시로 미워하는 것이라는 정의도
가능해집니다. 똑같은 對相인데 어느 날은 사랑스러운 감정이 일어날 수도 있고 또 다른 날은 미워서 쳐다보기도
싫을 때도 있으니까요. 때문에 變하지 않기도 하고 變하기도 하는 것이 불교적 연기론에 입각한 사랑의 해석입니다.
공간적 연기
마찬가지로 空間的으로도 緣起가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A지역에서 만들어진 茶가 茶馬高道를 지나면서
비를 맞고 習氣가 배는 과정을 거쳐 B지역에 到着해 完全히 차 맛이 달라진 것도 그 예입니다. 空間 條件에 의해
차 맛이 變하게 되는 것, 空間的 緣起 過程이죠. 녹차가 발효된 홍차도 그렇고, 안동의 유명한 특산물인 간고등어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영덕 바닷가에서 잡은 고등어의 저장기간을 길게 하기 위해 뿌린 소금이 고등어의 맛을
좋게한 것입니다. 애초에 條件이 맞지 않았다면 變化가 없든지 썩든지 했겠죠. 그렇기에 알맞은 條件이 前提가
되었을 때만이 콩이 썩지 않고 콩나물로 자랄 수 있으며 우유를 치즈로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前提나 條件이라는 것이 단순하게 정리되지 않습니다. 단선적이고 기계적으로 연기론을 규격화시키면
안 되는 거죠. 正見의 입장에서 연기론을 봤을 때 제대로 된 연기론을 볼 수 있는 것이지, 自己 觀點에서 연기론을
解釋하려 든다면 부처님께서 보신 연기론을 보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恒常 前提되어 있는 것은 正見입니다.
<금강경오가해> 중 冶보 스님은 空間的 緣起論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게송을 읊었습니다.
천척사륜직하수 千尺絲綸直下垂하니 (천척이나 되는 긴 낚시 줄을 곧장 드리우니)
일파자동만파수 一波自動萬波隨라 (한 물결이 일어나고 자동으로 만 가지 물결이 따라서 일어나네)
야정수한어불식夜靜水寒魚不食하니 (밤은 고요하고 물은 차가워서 고기가 물지를 않으니)
만선공재월명귀 滿船空載月明歸로다 (텅~빈 배에 가득히 허공과 밝은 달빛만 싣고 돌아오는구나)
현대 사회 설명 수단의로서의 연기
한 물결의 波動이 만가지 물결 波動을 만들어낸다는 이 말은 現實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海底 地振이 일어나면 쓰나미가 되어 밀려오고 陸地를 덮치게 되는 것은 자주 일어나는 일입니다.
이러한 自然的 緣起는 자주 발생합니다. 그런데 自然的 緣起에 人工的 緣起가 加重는 경우를 가정해보죠. 쓰나미가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를 덮쳤을 때 地區에 一波萬波의 커다란 위협을 加하게 된 것입니다. 이제까지 원자력
발전소는 안전 관리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일이 발생하자 世界的으로 原電에 대해 反省하게 됐죠.
이처럼 緣起는 우리 삶속에 살아서 가까이 있습니다. 특히 現代社會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고 있기에 이러한
緣起의 理致가 더욱더 활발하게 작용을 하죠. 緣起論이 世上을 說明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자리잡은 것입니다.
緣起의 屬性 중 또 다른 한 가지는 定해진 法則이 없다는 점입니다. 물이 얼음과 수증기 사이를 왕복하는 것도,
鐵筋이 上溫에서는 타지 못하다가 高溫에서 타는 것도 一種의 緣起죠. 나뭇가지가 因緣에 따라서 불쏘시개,
지게 작대기, 회초리가 되는 것도 條件 變化에 依해서 用度가 달라지는 경우입니다.
마찬가지로 手指針에도 緣起論的 原理가 깃들어 있습니다. 수지침에서는 손바닥 안에 오장육부가 있기에
각 장기에 해당하는 손바닥 부분을 찔러주면 몸에 다른 機能을 좋게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손바닥에서
온 몸을 다 보는 거죠. 손바닥의 經穴이 臟器들과 緣起的으로 存在한다는 사실입니다. 임상학적으로 많은 이들이
효과를 立證했기 때문에 수지침이 오늘까지 없어지지 않았겠죠. 手指針의 歷史가 곧 緣起論 檢證의 歷史입니다.
이해 넘어서 행동으로 표현돼야
굳이 緣起라고 표현을 안했을 뿐이지 이 世上에 存在하는 모든 것이 緣起 아닌 것이 없습니다.
緣起를 이해하게 되면 世上의 많은 부분들을 설명할 수 있고 豫測하며 理海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몸과 마음의 苦痛을 많이 줄일 수가 있겠죠. 연기론은 고상한 삶의 理論이 아니라 苦를 줄여주는 좋은 手段입니다.
중국 화엄종파 초조인 두순 선사는 ‘윗 동네 소가 풀을 뜯어먹었는데, 아랫 동네 있는 말이 배탈이 나서,
천하의 명의를 찾으니 돼지 왼쪽 다리에 뜸을 뜨는구나’라고 緣起 理致을 表現했습니다.
緣起는 이해에서만 끝나면 아무 意味가 없습니다. 行動으로 連結되어야 하죠.
中道의 實踐이 바로 實踐的 緣起의 모습입니다. 兩邊을 같이 보는 거죠.
이 세상에 완전히 좋은 사람과 완전히 나쁜 사람은 없습니다.
누구든지 중생적인 모습과 부처의 모습을 둘 다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듯 한 사람의 兩面을 同時에 봤을 때 그 사람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죠.
그렇기에 緣起라는 法을 알게 되면 共感하는 能力이 뛰어나게 됩니다. 그 사람에 대한 理解度가 넓어지는 것
뿐만 아니라 相對가 나와 둘이 아니라는 眞實을 알게 되니까요. 기쁨과 슬픔을 他人과 함께 共有하게 되는 것이죠.
中道的 眼目으로 實踐的으로 사는 사람의 삶이 불교에서 말하는 緣起論에 입각한 삶이 됩니다.
이에 關해서 임제스님이 한마디로 整理하셨죠. 隨處作主. 어디에 가든지, 어떤 狀況이든지, 自身이 이 世上의
主人으로 熱心히 努力하는 삶이 重要하다. 지금 이 瞬間瞬間 緣起論에 입각해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라는 뜻이죠.
이상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교리 체계인 緣起와 中道에 대해 명확한 안목을 가져주십사 하고 부탁하면서
이야기를 마치겠습니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완릉록 17-11 虛空界가 한~마음의 本體이니라. (0) | 2014.12.24 |
---|---|
입능가경 총품(總品) 2. 능상가상(能相可相) 원오스님게송 (0) | 2014.12.24 |
[스크랩] 프란치스코 "교황청 관료들 영적 치매 걸렸다" 경고 (0) | 2014.12.23 |
허공성, 본래마음, 참나, 진공장 (0) | 2014.12.21 |
◈입능가경 총품(總品) 1. 여환삼매(如幻三昧) (0) | 201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