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 受命於心者也 植 株植而不移也
의 수명어심자야 식 주식이불이야
意不受命於天心 從人欲而妄動則 百體反命
의불수명어천심 종인욕이망동즉 백체반명
終不收功而風枝 遂搖根矣 欲正天心
종불수공이풍지 수요근의 욕정천심
先耕意田于衡 乃運
선경의전우형 내운
(번역)
의意는 천심天心을 따르는 것이고, 식植은 뿌리를 내려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뜻이 천심을 따르지 않고 사람의 욕심을 쫓아 망령되게 움직이면 몸 전체가 하늘의 명을 거스르는 것이 되어 마침내 그 공功을 거두지 못하고 바람타는 가지(枝)에 그 뿌리 마저 흔들리게 될 것이다. 천심을 바르게 하고자 한다면 먼저 마음의 밭을 고르게 갈아야 바르게 운용될 것이다.
(주해)
1. 意 受命於心者也 植 株植而不移也 (의 수명어심자야 식 주식이불이야): 의意는 마음(天心, 良心)에서 명命을 받는 것이고, 식植은 뿌리를 내려 움직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마음에서 명을 받는 것이란 곧 천심을 따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의식意植, 즉 '뜻을 심음'이란 천심天心에 뿌리를 내려 움직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株 뿌리 주). 불이不移란 '움직이지 않음'을 뜻한다.
2. 意不受命於天心 從人欲而妄動則 (의불수명어천심 종인욕이망동즉) '뜻이 천심에서 명을 받지 않고(천심을 따르지 않고) 사람의 욕심을 쫓아 망령되게 움직이면'의 뜻이다.
3. 百體反命(백체반명): 백체百體는 몸 전체를 뜻하고 반명反命은 하늘의 명을 거스르는 것이니, 몸 전체가 하늘의 명을 거스른 다는 뜻이다.
4. 終不收功而風枝 遂搖根矣 (종불수공이풍지 수요근의): 종래(從) 그 功을 거두지 못하고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風枝)를 따라(隨) 그 뿌리 마저 흔들리는(搖根) 격이 된다는 의미이다. 불수공(不收功)은 공을 거두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풍지風枝는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를 말함이요, 수요근(遂搖根)은 따라서(나뭇가지를) 그 뿌리마저 흔들리게 되는 것을 말한다.
5. 欲正天心(욕정천심): '천심을 바르게 하고자 한다면'의 뜻이다.(慾 하고자 할 욕)
6. 先耕意田于衡 乃運 (선경의전우형 내운): 먼저(先) 마음의 밭(意田)을 갈아(耕) 고르게 하여야(于衡) 이에(乃) 바르게 운용(運)된다는 뜻으로, 이는 곧 먼저 마음의 밭을 고르게 갈아야 바르게 운용된다는 의미이다.(衡 평형이룰 형). 의전意田은 '마음 밭, 뜻 밭'을 의미한다.
(연습문제)
1. 다음 한자어의 뜻을 쓰시오
1) 意植
2) 妄動
3) 風枝
4) 耕意田
2. "從人欲而妄動則" 하면 어떻게 되는가? (한자어로)
3. "百體反命"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4. 天心을 바르게 갖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5. 마음의 밭을 갈아 고르게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본인생각)
'한민족의 뿌리 역사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보충자료: 참전계경의 요체 제5강령 禍 (5) (0) | 2011.02.01 |
---|---|
[스크랩] 제 12 사 정심( 正心: 誠 2 體) (0) | 2011.02.01 |
[스크랩] 제 15 사 불혹 (不惑: 誠 2 體 12 用) (0) | 2011.02.01 |
[스크랩] __________________보충자료 366사의 고증 (0) | 2011.02.01 |
[스크랩] 제 16 사 일엄 (溢嚴: 誠 2 體 13 用) (0) | 201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