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사회에서 복지국가에 대한 논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가 제시한 ‘비전 2030’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복지예산은 참여정부에서 언제나 역대 최대였다. 주목할 점은 복지예산 규모가 아니라 복지예산 증가율이다. 참여정부 5년간 복지지출은 연평균 10.1%의 증가율을 보였다. 노 대통령이 이처럼 지속적으로 복지예산을 대폭 늘리고자 한 이유는 무엇일까. 노 대통령의 복지철학은 시혜적 복지를 넘어 사회복지도 곧 ‘투자’란 적극적 개념이다.
“기존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화 시대에는 돈을 많이 투입하면 경제가 성장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돈과 사람만 많이 투입하면 됐는데, 지금은 경제가 체질이 달라져서 돈을 투입한다고 경제가 성장하는 것은 아니죠. 또 경제가 성장한다고 (바로) 일자리가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국민의 역량을 개발해야만 경제가 성장하고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사람에 대해 투자를 하자니까 교육투자, 사회투자로 가게 되고 따라서 복지비용이 늘어나는 것이죠. 그래서 사회복지 ‘투자’라 할 수 있습니다. 돈 걱정하기 전에 이것을 안 하고도 우리가 계속 발전할 수 있느냐,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백원우 의원실이 주최하고 더좋은민주주의연구소와 한국미래발전연구원이 공동 주관하는 ‘복지국가의 길, 비전 2030에서 찾는다’ 토론회가 지난 31일 국회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정치권을 중심으로 협소한 논쟁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장기적인 국가비전과 전략으로서 복지에 접근하고자 기획됐다.
미래발전연구원 김용익 원장(참여정부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이 ‘국가전략 비전 2030의 현재적 의의와 혁신과제’를 주제로, 비전 2030 총괄팀장을 맡았던 우천식 KDI(한국개발연구원) 선임연구원이 ‘국가 중장기 재정계획 비전 2030의 의의 및 혁신과제’를 주제로 발제자로 나섰다. 강명세 세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김태일 고려대 교수, 양재진 연세대 교수, 이범재 한국장애인인권포럼 대표, 전병유 한신대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사회자로 나선 백 의원은 “민주진보진영의 국가비전이 필요하다”며 “참여정부가 최초로 제시한 중장기 국가비전인 비전 2030의 토대 위에서 변화된 환경을 고려해 사회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국가비전을 모색해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토론회가 민주진보진영의 복지담론 지형을 바꾸고 집권을 준비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용익 원장은 “참여정부가 첫 예산을 짠 2004년부터 이미 복지부문이 경제부문 예산을 넘어서 ‘비전 2030’의 등장을 예고했다”며 “노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분배와 성장의 균형에 대해 굉장히 관심을 많이 보였다. 재임 초기부터 곤혹스러울 정도로 참모들에게 관련 자료를 찾아달라는 지시가 아주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비전 2030은 지역 균형발전과 같은 맥락으로 성장과 분배의 균형발전으로 볼 수 있다. 그만큼 노 대통령은 균형에 대해 고민이 많았다”고 회고했다.
김 원장은 ‘비전 2030’이 2006년 세상에 나왔을 당시 외면받은 주요 원인으로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시민사회와 관계가 멀어진 것을 꼽았다. 그는 “관료 주도로 만들어지는 게 장점이자 단점이었다”며 “한두 부처가 아닌 범정부적인 개입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시민사회와 교류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비전 2030’의 현재적 의미로 “당시 외면받고 묻혔지만 현재 저출산·고령화·양극화 등의 문제가 매우 심화되고 있다”며 “4대강으로 상징되는 구태의연한 모델에 밀렸지만 ‘비전 2030’은 반드시 조명될 수밖에 없는 참명제”라고 강조했다.
우천식 교수는 “오랜만에 공식석상에서 참여정부를 복기하는 게 뜻깊다”며 “노 대통령 서거 당시 추모시를 썼던 기억이 난다”고 남다른 감회를 밝혔다. 이어 ‘비전 2030’을 시조에 빗대 “산천은 어지러운데 비전은 의연하다”고 표현했다.
그는 “당시 수구보수진영의 공격을 방어하는 데만 신경을 썼는데 나중에 진보진영에서도 ‘복지를 가장한 성장정책’이란 식의 폄하가 심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안타까운 심경을 밝혔다. 이어 ‘비전 2030’이 나오는 과정에서 정부가 주도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예전 정부에서도 이런 시도가 없지 않았다. 그런데 대부분 어느 연구소 같은데 용역을 주는 형태였다. 연구원들이 예산에 대해 어떻게 알겠나. 거의 형식적인 조치에 불과했다. ‘비전 2030’과 같은 대규모 정책은 사실상 정부만이 할 수 있는 작업이다.
실제 예산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 정부 전문가들과 KDI와 같은 다소 보수적인 학자들과 진보적인 정치가들까지 같이 수개월 수년씩 공동으로 작업한 ‘비전 2030’이야말로 진정한 명품정책이다.” 토론자로 나선 강명세 연구원은 “천안함·연평도 사건을 겪으며 보수의 근간인 안보의 동력이 이미 소진되어 버렸다. 따라서 보수도 복지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2011년 04월 01일 | |||||||
'노간지의 사람 사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표지이야기]“재·보선은 이명박 정권 중간평가” (0) | 2011.04.27 |
---|---|
[스크랩] 친노의 ‘협공’…한명숙·김두관·유시민 등 ‘7인 협의체’ 구성 검토중 (0) | 2011.04.16 |
"따뜻해지면 인사드리러 나오겠습니다" (0) | 2011.03.12 |
인간 마음 VS 본래 마음 (0) | 2011.01.29 |
[스크랩] 봉하마을 ‘노짱버스’ 아시나요? (0) | 201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