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7 2

어떤 김정을 느낄지는 내개 결정한다

어떤 김정을 느낄지는 내개 결정한디 힘든 상황에 처했다고 해서 그 상황이 꼭 나쁜 느낌인 것은 아니다. 쉬운 비유를 들어보자. 밥과 김치를 먹고 있다. 그건 나쁜 느낌일까? 좋은 느낌일까? 사실 김치를 반찬으로 밥을 먹고 있다는 그 상황 속에는 좋거나 나쁜 그 무엇도 없다. 그저 중립일 뿐이다. 그러나 상황 따라 그것은 괴로운 느낌을 가져오기도 하고, 즐거운 느낌을 가져오기도 한다.  몇일을  굶은 사람은 김치와 밥만으로도 도 꿀맛 같다고 느낄 수 있다. 반면, 갑자기 사업 부도로 몰락한 가정에서는 그 상황을 비참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덥다는 상황은 중립이다. 그것 자체에는 좋거나 나쁜 느낌이 있지 않다. 한여름에 땀 흘려 일하는 사람에게 더위는 싫고 나쁘며 찝찝한 느낌일 수도 있지만, 사우나에 있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2.27

[증일아함경] 출세간(出世間), 십팔계(十八界)

출세간(出世間),  십팔계(十八界) ‘부처님이 가르치는 것은 무엇이고 부처님이 주장하는 것은 무엇인가?’ “하늘신, 용, 귀신이라 할지라도 내가 가르치는 것은 의식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가르치는 것은 세상에 집착하지 않고, 또 세상에 머무르지 않는 것이다(출세간법).   내 가르침은 이같은 사실을 말하는 것일 뿐이다.”… 눈(眼根)으로 빛깔(色境)을 보면 눈의 의식(眼識)이 생기고(十八界) 안근 색경  안식 이 세 가지 인연이 만나 접촉(觸)하면 느낌(受蘊)이 생기고 생각(想蘊)이 생기며 그로인해 온갖 집착하는 마음(取)이 생긴다. 또한 귀가 소리를, 코가 냄새를, 혀가 맛을, 몸이 감촉을, 뜻이 법을 접촉하면 곧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이 생긴다. 그것은 탐욕, 성냄, 번뇌, 교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