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타산연화사
“기뻐할 일도 없고 슬퍼할 일도 없다. ”
心隨萬境轉 轉處悉能幽
심수만경전 전처실능유
隨流認得性 無喜亦無憂
수류인득성 무희역무우
마음은 모든 경계를 따라서 굴러다니나 마음이 굴러다니면서 자유자재로 작용하는 곳마다
다 깊고 그윽하다. 경계를 따라 마음이 흐르더라도 그 본래성품을 확인하고 터득해서 알면
더 이상 기뻐할 일도 없고 슬퍼할 일도 없는 것이다.
- 마라나 존자 -
이 글은 서천 제22조 마라나(摩羅那)존자의 게송이다. 마라나 존자에게는 학륵나(鶴勒那)라는
제자가 있었다. 그런데 그 제자에게는 항상 5백 마리의 학이 따라다녔다. 그 까닭을 스승에게
물으니 마라나 존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그대는 제4劫 중에 비구가 되었는데 용궁의 공양청(供養請)을 받아 가게 되었다. 그대의 제자
5백명은 공양을 받을 福이 되지 못하여 함께 가지 못했다. 그랬더니 제자들이 말하기를
‘스승님은 항상 설법하시기를 음식에 平等한 사람은 法에 있어서도 平等하다고 하시었으면서
왜 저희들을 데려가지 않았습니까? 그래서야 어떻게 聖人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그래서 그대는 제자들을 거느리고 供養에 나아갔었다.
그 後로 生을 버리고 다음 生을 받을 때마다 여러 나라에 태어났으되 그 5백 제자들은 福이
적고 德이 없어서 날개가 달린 종족으로 태어나게 되었다. 그들은 지금까지 그대의 恩惠를
입었기 때문에 항상 그대를 따라다니게 된 것이다.”
그러자 학록나 존자가 물었다. “어떤 方便을 써야 그들을 解脫케 할 수 있겠습니까?”
이에 마라나 존자는
“나에게 最上의 法寶가 있으니 그대는 마땅히 잘 들으라.”고 하시고 곧 위의 게송을 설하시었다.
그랬더니 학의 무리들이 그 法門을 듣고는 모두 슬피 울며 날아갔다고 한다.
어느 누구나 사람들의 마음은 對相, 境界를 따라 움직이고 흘러가는 것이 自然스런 理致이다.
추우면 추운 줄 알고, 더우면 더운 줄 안다. 꽃이 피고 꽃이 지는 것도 잘 感知하며 살핀다.
이렇게 할 줄 아는 것이 또한 사람의 分別하고 認識해서 아는 마음 즉, 分別心이다. 그렇게 아는
바로 그 곳에 眞理가 있고 生命이 있는 것이다. 그곳의 그 깊은 內容, 作用은 그 끝을 알 수 없다.
境界를 따라서 分別하는 마음이 움직이는 그곳, 그 자리, 그 事實에서 本來性稟(本性/本心)을
곧바로 보고 터득해서 알아차려야 한다.
本來性稟 즉, 바로 눈앞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바탕 이 자리를 몰록 봐서 터득하는 것을 見性
이라 한다. 本來性稟 자리, 그것에 確信이 서면 사람의 分別心인 기쁜 일도 이미 기쁜 일이 아니고
슬픈 일도 이미 슬픈 일이 아니다. 그 자리는 二分法的 相對的 分別心인 기쁨과 슬픔을 超越한다.
이런 事實을 터득한 사람의 마음은 一切 對相 境界에 휘둘리지 않기에 마치 거울과 같다.
境界가 오면 오는 대로 가면 가는 대로 있는 그대로 잘 비추지만 아무런 執着과 미련이 없다.
싫어하는 기색도 없다. 담담하다. 기쁜 일과 슬픈 일이 생기더라도 그것에 빠져들거나 그것
때문에 상처 받지 않는다.
학록나의 제자들이 처음부터 이러한 마음이었다면 공양청에 가고 못 가는 것에 아무런
느낌 感情, 生覺 妄想, 欲求 欲望 衝動 意志 意圖, 意識 마음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스로를 태우는 불길 (0) | 2015.12.16 |
---|---|
이 세상 모든것은 가짜다 (0) | 2015.12.16 |
道란 ? / 지유스님 (0) | 2015.12.15 |
"의식, 또는 마음이라 불리는 그것은 무엇일까요?" (0) | 2015.12.14 |
통렬히 깨달아 아무 일이 없어질뿐 (0) | 2015.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