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의 주례사 [금고옥조]입니

[스크랩] [삼법인 ②] 일체개고(一切皆苦) : 모든 형성된 것은 고통이다

장백산-1 2013. 5. 15. 00:57


삼법인의 내용은 경전별로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데, 그 차이는 바로 일체개고 대신에 열반적정(涅槃寂靜)을 넣는 경우이다. 경전상에서는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이 더 일반적인 용례로 나온다. 여기에 일체개고를 덧붙여 사법인(四法印)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담마빠다>에서는 일체개고를 넣어 삼법인의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어, 필자는 이에 따르고자 한다. 그 이유를 간단히 밝히면, 불교의 출발은 '苦(고통, dukkha)' 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고통이라고 하는 것은 지난 호에서도 간단히 언급했지만, 현실인식의 결과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우리가 딛고 있는 이곳의 실상을 고통이 가득 찬 세상이라고 인식하고, 그것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고통을 명확히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거나 초월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우리는 그 결과로서 '열반(nibba-na, 涅槃)' 을 성취하게 되는 것이다. 분명한 지혜 갖고 관할 때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어 <담마빠다>에서 일체개고는 다음과 같이 설해지고 있다. "'모든 형성된 것은 고통이다' (일체개고)라고 분명한 지혜를 갖고 관할 때에, 사람은 고통에서 멀리 떠나간다. 이것이야말로 사람이 깨끗해지는 길이다." (<담마빠다> 제278게송. '테라가타' 제677게송) 이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고통에 대해 분명한 지혜를 갖고 관할 때에 고통에서 벗어나 안락에 이를 수 있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는 고통을 고통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선언한 것이기도 하다. 고통을 바로 아는 것이 왜 중요한지 우리는 <숫따니빠따> 724게송에서 727게송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통을 알지 못하고, 또 고통이 일어나는 것을 알지 못하고, 또 고통이 남김없이 사라진 것도, 또 고통의 소멸에 이르는 길도 알지 못하는 사람들 (<숫따니빠따> 제724게송) 그들은 마음의 해탈이 없고, 또 지혜의 해탈이 없다. 그들은 (윤회를) 끝낼 수 없다. 그들은 참으로 나고 늙음을 받는다. (<숫따니빠따> 제725게송) 그러나 고통을 알고, 또 고통이 일어나는 것을 알고, 또 고통이 남김없이 멸하는 것을 알고, 또 고통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아는 사람들 (<숫따니빠따> 제726게송) 그들은 마음의 해탈을 구현하고, 또 지혜의 해탈을 구현한다. 그들은 (윤회를) 끝낼 수 있다. 그들은 나고 늙음을 받지 않는다. (<숫따니빠따> 제727게송) 부처님이 고통을 강조하신 이유는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을 추구해야 할 당위성을 보여주기 위함이지 다른 이유 때문이 아니다. 따라서 일체개고의 가르침은 사실은 고통에 방점이 놓인 것이 아니라 해탈에 방점이 놓여 있는 것이다. 고통을 보지 못하면 해탈에 대해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사상의학의 체계를 세운 동무 이제마(1837~1900)는 "낮을 보지 않으면 밤에 대해 알 수 없고...... 진실을 보지 못하면 거짓에 대해 알 수 없다." 고 말하고 있다. 그의 말이 고통을 강조한 부처님의 뜻을 이해하는데 조금은 도움이 될 것 같다.
관세음보살 [글 : 이필원 박사 동국대 강사 (감사합니다) / 불교신문 자료 발췌] 다음카페 : 『 가장행복한공부 』 '가장 행복한 공부' 無量光明 합장
출처 : 가장 행복한 공부
글쓴이 : 無量光明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