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의식이 나를 만들고 세상을 만든다.

장백산-1 2022. 3. 19. 23:57

의식이 나를 만들고 세상을 만든다.

 

불교 초기 때는 내가 세상을 만나고 세상을 접촉을 함으로써 인식(認)識이 일어나는 과정을 십팔계(十八界)를 에로 들어 설명을 한다. 눈 귀 코 혀 몸 뜻(안 이 비 설 신 의) 6근(六根)이 6근의 대상인 색 성 향 미 촉 법 6경(六境)을 만나 접촉할 때 6식(六識)이라는 인식(認識), 즉 6가지 알음알이(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가 생겨난다는 것이다.

 

이것을 쉽게 말해 눈으로 대상을 볼 때 눈으로 대상을 보아서 아는 마음인 안식(眼識)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6근도 6경도 모두 실체적으로 고정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며, 6근과 6경으로 인해 연기(緣起)되어져 나타나는 6식(六識) 또한 실체가 아니라고 말한다. 즉 우리 사람들이 생각에는 여기에는 내가 있고 저 바깥에는 실체적이고 독립적인 세상이 있어서 내가 바깥의 대상을 인식할 수 있다고 여긴다.

 

그러나 나도 실체가 없어 공(空) 세상도 실체가 없어 공(空)하고, 인식(認識) 또한 연기적(緣起的)인 허망한 현상으로 실체가 없는 것일 뿐이라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내가 바깥 세상에 있는 대상을 본다고 여기지만, 사실은 내 안에 바깥 대상을 보는 누군가가 있는 것도 아니고, 바깥에 보이는 대상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바깥에 보이는 대상을 볼 때 우리는 과거의 선험적인 기억들을 재빨리 검색한 뒤에 과거에 그와 비슷했던 기억을 떠올려 그것과 비교 대조해서 눈앞의 대상을 과거의 잣대로 대충 묶어서 규정짓는다. 즉 바깥의 대상 그 자체를 온전히 봐서 아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던 경험한 기억의 조각들과 업의 그림자라는 망에 걸러서 머릿속으로 대충 인식하는 것에 불과하다. 바깥에 보이는 대상을 쉽게 말하면 내 마음 안에서 바깥 대상을 인연으로 또 다른 기억의 찌꺼기를 꺼내어 보는 것에 불과하다.

 

이처럼 우리는 눈 귀 코 혀 몸 뜻(六根)으로 색 성 향 미 촉 법이라는 육근의 대상을 끊임없이 만나고는 있지만, 있는 그대로의 모양(색), 소리, 향기, 맛, 감촉, 법을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진부한 기억들을 재조합해서 재상영하는 것을 보는 것에 불과하다. 직접 내가 세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결국 마음이 마음을 보는 것이다. 이를 유식(唯識)에서는 말 그대로 ‘오직 식(唯識) 뿐’이라고 한다. 이 세상은 오직 식일 뿐이지 별도로 나 라는 실체와 세계라는 실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 세상 모든 것은 오직 인식(識)이 전변(轉變)하여 허망하게 조작되어진 환상으로 인식(識)이 주관과 객관으로 전변한 뿐인 것이다. 이렇게 식이 전변한 것 중에 인식 주관 즉 보는 부분을 견분(見分)이라고 하고, 보여지는 인식의 대상을 상분(相分)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 내가 바깥의 꽃 한 송이를 볼 때, 꽃을 보는 나는 견분이고 보여지는 꽃 한송이는 상분이다. 이 두 가지가 따로 따로 나뉘어진 것이 아니라, 사실은 내 마음 속의 인식(認일 뿐인 것이다.

 

그런데 견분 상분 이 두 가지는 서로 연기적으로 상호의존적으로 성립되는 것이지, 별도로 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꽃이 별도로 독립적으로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인식은 견분과 상분, 즉 주관과 객관이 서로 관계를 맺음으로써 성립하게 되는데, 이를 ‘관계를 맺는다’ 혹은 ‘인연을 맺는다’는 의미에서 ‘연(緣)’이라고 한다.

 

주관의 보는 부분인 견분은 ‘능히 연하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능연이 되고, 보이는 대상은 연해지는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소연’이 된다. 또한 인식이라고 할 때 이 ‘식’이란 분별한다, 헤아린다라는 의미로 능연의 식이 소연의 경계를 분별해서 헤아려 알기 때문에 식(識)이라는 말 대신 ‘량(量)’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즉 인식 주관을 능량, 인식 대상을 소량이라고 말한다.

 

이상에서 말한 것을 종합해 보면, 유식(唯識)에서 말하는 식전변설(識轉變說)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우리가 평소 안에 있는 ‘나’와 밖에 있는 ‘대상’을 독립적이고 실체적인 것이라고 여기고 있지만, 유식(唯識)에서는 그 안팎의 주관과 객관 모두가 식이 전변한 것으로 허망한 것이라고 말한다. 인식하는 주관인 견분도 능연식으로 식이 전변한 것이고, 인식 대상인 식의 대상 즉 소연 또한 식이 전변한 것 즉 식소변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유식에서는 언뜻 보기에는 ‘식’이 있는 것처럼 말하는 듯 보이지만, 유식은 초기불교의 무아와 대승과 중관의 공사상을 잇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는 나도 없고 외부에 내가 마주하는 대상도 없는 가운데, 내가 있다고 여기고, 좋고 싫은 대상이 있다고 여기는 데서부터 모든 괴로움이 시작되는 것이다.

 

내가 만나고 접촉하는 모든 대상과 사람들은 사실 그만의 독자성을 지닌 실체가 있는 누군가이거나 무언가가 아니라, 사실은 내 안에서 그렇게 인식된 연기적인 허망한 존재에 불과할 뿐이다. 그러니 어느 곳에도 집착할 곳이라고는 없다.

허망한 분별심이 헤아려 능량과 소량이라고 분별할 뿐, 분별할 것은 단 하나도 없다. 


2017.06.29  글쓴이: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