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불교의 본래면목과 힌두교의 아트만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법의 성품 법성, 즉 본래면목을 확인하는데 있습니다. 선불교에서 자신의 성품, 즉 법성을 확인하는 것을 두고 ‘견성했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얘기하니까, 초기불교를 전공하는 사람들의 일부는 인도 힌두교에서 말하는 아트만 사상과 뭐가 다르냐고 반문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이같은 논쟁은 사실 선사스님들이 남겨 놓으신 어록을 조금만 보더라도 금방 그게 아니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선사들의 어록을 보면 끊임없이 주의를 주고 있습니다. 즉 성품을 확인하는 견성을 말하지만, 법성이나 본래면목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면 그 생각은 아주 잘못된 생각이라고 말이지요. 법성, 본래면목을 보라고 얘기하지만 그러나 확인하고 깨달아야할 법성, 본래면목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금강경에서도 ‘얻을 수 있는 법이 조금도 없다’고 했고, ‘여래가 말한 정해진 법도 없다’고 했으며, 반야심경에서도 무소득이라 해서 얻을 것이 없다고 했습니다. 육조단경에서는 ‘본래무일물’이라고 해서 본래면목이라고는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방편으로 그렇게 이름 지어 놓았을 뿐, 한 물건도 아니라고 했던 것입니다.
만약 법성, 본래면목 이것을 실체가 있다고 이해하면 그건 그냥 알음알이 분별망상일 뿐입니다. 깨닫고 보면 아무것도 없단 말이죠! 그래서 공이라고 하고, 무아라고 하지요. 그러나 그 없다는 것이 그냥 모조리 아무것도 없다는 죽은 공이 아니라 생생하게 살아있는 공이라고 합니다. 어떤 이는 춤추는 공이라고도 하데요. 아무것도 없는 가운데 모든 것이 드러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법성은 법의 성품이라고 했지만 법의 성품 이건 사람들의 알음알이 분별심으로 이해할 수 있는 어떤 이해의 대상이 아닙니다. 생각으로 이해할 수 없고 개념으로는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법성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의식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이해로는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는 것일 뿐입니다. 이것은 아무것도 아니면서 전부이고, 티끌도 아니면서 온 우주이기도 한 것입니다.
그러니 이 불성, 법성, 자성, 본래면목은 방편으로 이름만 있을 뿐 그 이름에 걸맞는 어떤 ‘것’은 없습니다. 방편으로 말하는 불성,법성, 자성,본래면목은 초기불교에서 말한 무아와 대승에서 말한 공사상과 다르지 않은 것입니다.
선불교의 공안이나 화두를 보면 ‘무엇이 도입니까?’, ‘무엇이 깨달음입니까?’라고 묻는 질문에, 마른똥막대기, 뜰 앞의 잣나무, 동쪽 산이 물 위로 간다, 바람이 불어오니 처마 밑이 시원하구나라고 답하기도 했고, 혹은 방망이로 때리기도 했고, 할로써 소리를 지르기도 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바로 방편으로 말하는 ‘이 자리’, ‘불성, 법성, 자성, 본래면목’이라는 바로 이 자리를 알려주기 위한 하나의 방편인 것입니다.
도저히 말로 표현할 수 없고, 말로써 이해시킬 수 없으며, 듣는 이로 하여금 생각이 꼼짝 못하게, 생각이 오도가도 못하게 만들어야 하다보니 어쩔 수 없이 이해 너머의 도무지 알 수 없는 말 아닌 말로써 설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이런 이해되지 않는 선불교의 언어들이 바로 말 아닌 말, 즉 화두인 것입니다. 본래무일물인, 얻을 것 없는 ‘이 자리’ 아닌 ‘이 자리’를 말과 언어, 사량분별 너머의 것으로 깨닫게 하려고 하다보니 어쩔 수 없이 쓰게 된 방편인 것입니다. 이처럼 선(禪)에서 사용하는 모든 언어와 방편은 철저히 무아사상(無我思想)과 공사상(空思想)에 입각해 있습니다.
본래면목은 본래면목이 아니라 이름이 본래면목일 뿐이고, 불성은 불성이 아니라 이름이 불성일 뿐일 때 비로소 불성일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가장 기초적인 방편을 무시하고 단순히 자성, 법성, 본래면목, 견성이라는 언어를 쓴다고해서 그것을 가지고 힌두교의 아트만과 같다고 한다면 이것이야말로 선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방편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 뿐입니다.
글쓴이 : 법상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리는 둘로 나눠지지 않는다 (0) | 2024.07.29 |
---|---|
진정한 자유인 (0) | 2024.07.29 |
내 생각에 대한 고집과 집착을 내려놓는 일 (0) | 2024.07.28 |
내가 아는 세상과 남이 아는 세상 (0) | 2024.07.26 |
나는 나의 일을 할 것이고 세상은 세상의 일을 할 것입니다 (0) |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