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할 대상인 신수심법(身受心法) 무엇을 관찰해야 하나? 관찰대상이 4 가지 신수심법(身受心法)으로 몸, 느낌, 마음, 법이다. 그렇다면 왜 이 네 가지를 관찰해야 할까? 신수심법(身受心法) 그것이 바로 ‘나’라고 여겨지는 것, 즉 오온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사념처에서는 오온을 몸(색온)과 느낌(수온)과 마음(상온, 행온, 식온)으로 나누어 분별없이 있는 그대로 관찰해 봄으로써 그것들이 결국 실체가 없으며 ‘나’가 아님을 깨닫게 한다. 여기에서 신수심(身受心)이라는 세 가지 관찰을 통해 무상, 무아라는 법(진리)을 깨닫게 되는, 진리에 대한 관찰을 법념처(法念處)라고 한다. 신수심법은 ‘일체 모든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몸과 느낌과 마음은 곧 우리가 ‘나’라고 여기는 것이고, ..